"울주 반구대 암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문화유산정보 | ||
+ | |사진 = | ||
+ | |대표명칭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
+ | |한자 = 蔚山大谷里盤龜臺岩刻畵 | ||
+ | |영문 = | ||
+ | |이칭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
+ | |지정번호 = 국보 제 285호 | ||
+ | |지정일 = 1995년 06월 23일 | ||
+ |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991 | ||
+ | |위도 = 35.607969 | ||
+ | |경도 = 129.175584 | ||
+ | |웹사이트 = | ||
+ | }} | ||
+ | |||
+ | =='''정의'''== | ||
+ | [[태화강]] 상류 반구대 일대의 인공호(人工湖) 서쪽 기슭의 암벽에 새겨진 선사시대의 암각화(岩刻畵)이다. 1971년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br/> | ||
+ | 1965년 근처에 사연댐이 축조된 후 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있다가 물이 마르면 그 모습을 보인다. | ||
+ | |||
+ | =='''설명'''== | ||
+ | 그림이 있는 부분은 가로 약 8미터, 세로 약 2미터이다.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바느질된 옷을 입고 다듬어진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점, 탈을 쓴 무당이 그려져 있는 등 토테미즘적 성격이 드러나는 점 등을 볼 때 신석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표현 양식과 그림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그림 모두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원라는 그림을 추가하는 등 신앙행위의 장소로 계속되었을 것이라는 의견 또한 존재한다. 즉 암각화의 제작 연대는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를 거쳐 초기 철기시대까지 걸쳐 있다고 볼 수 있다. | ||
+ | ===암각화(바위그림) 내용=== | ||
+ | 바위에는 육지동물과 바다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 총 200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육지동물은 호랑이, 멧돼지, 사슴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호랑이는 함정에 빠진 모습과 새끼를 밴 호랑이의 모습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멧돼지는 교미하는 모습을 묘사하였고, 사슴은 새끼를 거느리거나 밴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바다고기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의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사냥하는 장면은 탈을 쓴 무당, 짐승을 사냥하는 사냥꾼, 배를 타고 고래를 잡는 어부 등의 모습을 묘사하였으며, 그물이나 배의 모습도 표현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선사인들의 사냥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길 기원하며, 사냥감이 풍성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바위에 새긴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3879&cid=42927&categoryId=42927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br/> | ||
+ | 또한 그림에는 모두 3척의 배가 보이는데, 가야시대와 신라시대의 배 모양 토용과 모양이 비슷하다. 특히 배의 앞과 뒤가 높이 솟아오른 것이 고대 이집트·페니키아·페르시아·인도 등지의 고대 선박과 유사하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35&cid=42955&categoryId=42955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ref><br/> | ||
+ | 전체적으로 수렵과 어로 등 일상적인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주민의 생활상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PAGENAME}}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A는 B의 소재이다 || | ||
+ | |- | ||
+ | | {{PAGENAME}} || [[태화강]] || A는 B에 위치한다 || | ||
+ | |- | ||
+ | | {{PAGENAME}} || [[사연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 |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 || {{PAGENAME}} || A는 B를 발견하였다 || 1971년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1965년 || [[사연댐]]이 축조되어 {{PAGENAME}}가 침수되었다. | ||
+ | |- | ||
+ | | 1971년 ||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이 {{PAGENAME}}을 발견하였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5.607969 || 129.175584 || {{PAGENAME}}은 태화강에 위치한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가상현실=== | ||
+ | ===사진=== | ||
+ | ===지도=== | ||
+ |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5.607969" lon="129.175584" type="normal" zoom="1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35.607969,129.175584, [[울주 반구대 암각화]] | ||
+ | </googlemap>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웹자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0140&cid=46619&categoryId=4661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8706&cid=46631&categoryId=46631 사연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205&cid=40942&categoryId=33374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 민족기록화 문화유산]]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문화유산]][[분류: 민족기록화 문화유산]] |
2017년 7월 18일 (화) 10:51 판
목차
정의
태화강 상류 반구대 일대의 인공호(人工湖) 서쪽 기슭의 암벽에 새겨진 선사시대의 암각화(岩刻畵)이다. 1971년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발견되었다.
1965년 근처에 사연댐이 축조된 후 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있다가 물이 마르면 그 모습을 보인다.
설명
그림이 있는 부분은 가로 약 8미터, 세로 약 2미터이다. 그림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바느질된 옷을 입고 다듬어진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 점, 탈을 쓴 무당이 그려져 있는 등 토테미즘적 성격이 드러나는 점 등을 볼 때 신석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표현 양식과 그림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그림 모두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원라는 그림을 추가하는 등 신앙행위의 장소로 계속되었을 것이라는 의견 또한 존재한다. 즉 암각화의 제작 연대는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를 거쳐 초기 철기시대까지 걸쳐 있다고 볼 수 있다.
암각화(바위그림) 내용
바위에는 육지동물과 바다고기, 사냥하는 장면 등 총 200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육지동물은 호랑이, 멧돼지, 사슴 등이 묘사되어 있는데, 호랑이는 함정에 빠진 모습과 새끼를 밴 호랑이의 모습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멧돼지는 교미하는 모습을 묘사하였고, 사슴은 새끼를 거느리거나 밴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바다고기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의 모습 등으로 표현하였다. 사냥하는 장면은 탈을 쓴 무당, 짐승을 사냥하는 사냥꾼, 배를 타고 고래를 잡는 어부 등의 모습을 묘사하였으며, 그물이나 배의 모습도 표현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선사인들의 사냥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길 기원하며, 사냥감이 풍성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바위에 새긴 것이다.[1]
또한 그림에는 모두 3척의 배가 보이는데, 가야시대와 신라시대의 배 모양 토용과 모양이 비슷하다. 특히 배의 앞과 뒤가 높이 솟아오른 것이 고대 이집트·페니키아·페르시아·인도 등지의 고대 선박과 유사하다.[2]
전체적으로 수렵과 어로 등 일상적인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주민의 생활상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A는 B의 소재이다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태화강 | A는 B에 위치한다 |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사연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 | 울주 반구대 암각화 | A는 B를 발견하였다 | 1971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65년 | 사연댐이 축조되어 울주 반구대 암각화가 침수되었다. |
1971년 | 동국대학교 학술조사단이 울주 반구대 암각화을 발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607969 | 129.175584 | 울주 반구대 암각화은 태화강에 위치한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지도
주석
- ↑ "반구대 암각화", 문화유산채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울산대곡리 반구대암각화 배그림", 한국 미의 재발견-과학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사연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