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학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 민족기록화 인물]]
+
{{인물정보
[[분류:조선]]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정학유
 +
|한자표기=丁學游
 +
|영문명칭=
 +
|본관=나주(羅州)
 +
|이칭=
 +
|시호=
 +
|호=운포(耘逋)
 +
|자=문장(文牂)
 +
|생년=1786년(정조 10)
 +
|몰년=1855년(철종 6)
 +
|출생지=
 +
|사망지=
 +
|시대=조선
 +
|국적=
 +
|대표저서=[[농가월령가]]
 +
|대표직함=
 +
|배우자=
 +
|부=[[장약용]]
 +
|모=
 +
|자녀=
 +
|전임자=
 +
|후임자=
 +
|상훈=
 +
|능묘=
 +
|성격=학자
 +
|유형=
 +
}}
 +
 
 +
=='''정의'''==
 +
조선 후기의 문인.
 +
 
 +
=='''내용'''==
 +
[[정약용]](鄭若鏞)의 둘째 아들이다. 1808년(순조 8)에는 형 학연(學淵)과 함께 유배중인 아버지의 『주역심전(周易心箋)』을 정리하여 완성시키는 등 [[정약용]]의 학문활동을 도왔다. 1816년(순조 16) 농가에서 매달 할 일과 풍속 등을 한글로 읊은 『농가월령가』를 지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803 정학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농가월령가===
 +
[[농가월령가]]는 모두 518구의 국한문혼용 운문체로 되어 있는데 농시(農時)를 강조하고 농구관리와 거름의 중요성, 그리고 작물과목·양잠·양축·양봉·산채·약초·김장·누룩·방적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농사내용과 세배·널뛰기·윷놀이·달맞이·더위팔기·성묘·천렵(川獵)·천신(薦新) 등의 민속적인 행사 등이 광범하게 포함되어 있다.<ref>김영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93 정학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농가월령가의 의의===
 +
또한, [[농가월령가]]는 농부들이 농업기술 내용을 철마다 음률에 맞추어 흥겹게 노래로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농업기술 보급상 중요한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민속학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우리말 노래로써 농업기술의 보급을 처음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0318&cid=41708&categoryId=41711 정학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어국문학자료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사전연구사.</ref>
 +
 
 +
=='''지식 관계망'''==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정학유]] || [[정약용]]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
 +
| [[정학유]] || [[정학연]] || A는 형제 B가 있다 || A ekc:hasBrother B
 +
|-
 +
| [[농가월령가]] || [[정학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정학유]] || [[주역심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 김영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1093 정학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2803 정학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피디아』<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0318&cid=41708&categoryId=41711 정학유]",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어국문학자료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사전연구사.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

2017년 9월 18일 (월) 21:03 판

정학유(丁學游)
대표명칭 정학유
한자표기 丁學游
생몰년 1786년(정조 10)-1855년(철종 6)
본관 나주(羅州)
운포(耘逋)
문장(文牂)
시대 조선
대표저서 농가월령가
장약용
성격 학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내용

정약용(鄭若鏞)의 둘째 아들이다. 1808년(순조 8)에는 형 학연(學淵)과 함께 유배중인 아버지의 『주역심전(周易心箋)』을 정리하여 완성시키는 등 정약용의 학문활동을 도왔다. 1816년(순조 16) 농가에서 매달 할 일과 풍속 등을 한글로 읊은 『농가월령가』를 지었다.[1]

농가월령가

농가월령가는 모두 518구의 국한문혼용 운문체로 되어 있는데 농시(農時)를 강조하고 농구관리와 거름의 중요성, 그리고 작물과목·양잠·양축·양봉·산채·약초·김장·누룩·방적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농사내용과 세배·널뛰기·윷놀이·달맞이·더위팔기·성묘·천렵(川獵)·천신(薦新) 등의 민속적인 행사 등이 광범하게 포함되어 있다.[2]

농가월령가의 의의

또한, 농가월령가는 농부들이 농업기술 내용을 철마다 음률에 맞추어 흥겹게 노래로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농업기술 보급상 중요한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민속학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우리말 노래로써 농업기술의 보급을 처음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학유 정약용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정학유 정학연 A는 형제 B가 있다 A ekc:hasBrother B
농가월령가 정학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정학유 주역심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정학유",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2. 김영진, "정학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학유", 『국어국문학자료사전』online, 한국사전연구사.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영진, "정학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학유",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 "정학유", 『국어국문학자료사전』online,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