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통도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pre> | ||
{{개념정보 | {{개념정보 | ||
− | | | + | |사진=화통도감.jpg |
− | | | + | |사진출처= |
− | | | + | |대표명칭= 화통도감 |
− | | | + | |한자표기= 火筒都監 |
− | | | + | |영문명칭= |
− | + | |이칭= | |
− | | | + | |유형= 관청 |
− | |유형 = 관청 | + | |관련개념= |
− | | | ||
}} | }} | ||
+ | </pre> | ||
+ | =='''정의'''== | ||
+ | 고려시대 화약·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 | ||
− | == | + | =='''설명'''== |
− | 1377년(우왕 3)에 | + | 1377년(우왕 3)에 [[최무선|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기들은 모두 18가지로, 이 중에서 총포의 종류는 [[대장군포|대장군포(大將軍砲)]]·[[이장군포|이장군포(二將軍砲)]]·[[삼장군포|삼장군포(三將軍砲)]]·[[육화석포|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화포(火砲)]]·[[신포|신포(信砲)]]·[[화통|화통(火筒)]] 등이며, [[화전]]·[[철령전|철령전(鐵翎箭)]]·[[피령전]] 등은 발사물, 그 밖에 [[질려포]]·[[철탄자]]·[[천산오룡전|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유화|유화(流火)]]·[[촉천화|촉천화(觸天火)]]와 로켓무기로 [[주화|주화(走火)]]가 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화기들은 왜구를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br/> |
− | + | 1388년(창왕 1)에 폐지되어 [[군기시]]에 소속되었다.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관계정보===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노드 || 관계 || 노드 | ! 노드 || 관계 || 노드 |
2017년 7월 12일 (수) 10:59 판
{{개념정보 |사진=화통도감.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화통도감 |한자표기= 火筒都監 |영문명칭= |이칭= |유형= 관청 |관련개념= }}
정의
고려시대 화약·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
설명
1377년(우왕 3)에 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기들은 모두 18가지로, 이 중에서 총포의 종류는 대장군포(大將軍砲)·이장군포(二將軍砲)·삼장군포(三將軍砲)·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火砲)·신포(信砲)·화통(火筒) 등이며, 화전·철령전(鐵翎箭)·피령전 등은 발사물, 그 밖에 질려포·철탄자·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유화(流火)·촉천화(觸天火)와 로켓무기로 주화(走火)가 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화기들은 왜구를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
1388년(창왕 1)에 폐지되어 군기시에 소속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노드 | 관계 | 노드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을 소재로 한다 | 화통도감 |
최무선 | ~에서 활동했다 | 화통도감 |
화통도감 | ~에 기록되어 있다 | 고려사 |
화통도감 | ~의 제조지이다 | 화포 |
화통도감 | ~의 제조지이다 | 화전 |
화통도감 | ~의 제조지이다 | 주화 |
화통도감 | ~의 제조지이다 | 대장군포 |
화통도감 | ~의 제조지이다 | 피령전 |
화통도감 | ~에 흡수되었다 | 군기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