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비문=== | ===비문=== | ||
− | 비문은 비신이 파괴되어 문헌을 통해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금석총람|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에는 결락이 극심하여 후반부분은 거의 마멸 상태이고, 『[[해동금석원|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도 『[[조선금석총람]]』보다는 덜하지만 역시 결락이 심하여 뜻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이며, 『[[한국금석전문|한국금석전문(韓國金石全文)]]』은 거의 완비한 상태로 되어 있다.<ref>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탑비", 『교감역주 | + | 비문은 비신이 파괴되어 문헌을 통해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금석총람|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에는 결락이 극심하여 후반부분은 거의 마멸 상태이고, 『[[해동금석원|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도 『[[조선금석총람]]』보다는 덜하지만 역시 결락이 심하여 뜻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이며, 『[[한국금석전문|한국금석전문(韓國金石全文)]]』은 거의 완비한 상태로 되어 있다.<ref>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탑비",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43쪽.</ref> |
비문은 [[윤다|광자대사(廣慈大師)]]가 태어나 출가하여 교화 활동을 하고, [[고려 태조]]가 사신을 보내 대사를 초청하자 궁궐에 있다가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서 머물고, [[고려 태조|태조]]의 아들이자 [[고려 성종|성종]]의 부친이 되는 왕욱(王旭)이 그의 제자가 되고, [[곡성 태안사|태안사(泰安寺)]]로 돌아와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5 대안사광자대사비(大安寺廣慈大師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비문은 [[윤다|광자대사(廣慈大師)]]가 태어나 출가하여 교화 활동을 하고, [[고려 태조]]가 사신을 보내 대사를 초청하자 궁궐에 있다가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에서 머물고, [[고려 태조|태조]]의 아들이자 [[고려 성종|성종]]의 부친이 되는 왕욱(王旭)이 그의 제자가 되고, [[곡성 태안사|태안사(泰安寺)]]로 돌아와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5 대안사광자대사비(大安寺廣慈大師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
2017년 6월 17일 (토) 00:01 판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碑) |
|
대표명칭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Gwangja at Taeansa Temple, Gokseong |
한자 |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碑 |
이칭 | 대안사광자대사비(大安寺廣慈大師碑) |
주소 | 전남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산18-1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275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손소(孫紹) |
서자 | 미상 |
각자 | 문민(文旻) |
서체 | 행서(行書) |
승려 | 윤다(允多) |
건립연대 | 950년 |
승탑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泰安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광자대사 윤다(廣慈大師 允多, 864-945)의 탑비.
내용
개요
귀부(龜趺)·대석(臺石) 길이 1.97m, 너비 1.82m, 이수(螭首) 높이 0.56m. 귀부 위에 이수만 얹혀져 있는 상태로, 비신(碑身)은 파괴되었다.
탑비는 광자대사(廣慈大師)가 945년 입적하고 그로부터 5년 후인 950년에 조성되었다. 비문은 손소(孫紹)가 짓고, 문민(文旻)이 새겼으며, 글쓴이는 알 수 없다. 정간(井間)을 치고 쓴 이 비의 글씨는 왕희지(王羲之)의 행서(行書)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초서(草書)도 간간히 나타나며, 또한 신라의 명필인 김생(金生)의 독특한 필치를 닮은 글씨들도 섞여 있다.[1]
탑비는 이수의 네 귀퉁이마다 이무기의 머리조각이 돌출되어 있고, 앞면에는 극락조(極樂鳥)로 보이는 새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이러한 새 종류의 조각은 구례 연곡사 동 승탑(求禮 鷰谷寺 東 僧塔, 국보 제53호)이나, 구례 연곡사 북 승탑(求禮 鷰谷寺 北 僧塔, 국보 제54호)에서 잘 나타나 있다. 1963년 보물 제275호로 지정되었다.[2]
비문
비문은 비신이 파괴되어 문헌을 통해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에는 결락이 극심하여 후반부분은 거의 마멸 상태이고,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도 『조선금석총람』보다는 덜하지만 역시 결락이 심하여 뜻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이며, 『한국금석전문(韓國金石全文)』은 거의 완비한 상태로 되어 있다.[3]
비문은 광자대사(廣慈大師)가 태어나 출가하여 교화 활동을 하고, 고려 태조가 사신을 보내 대사를 초청하자 궁궐에 있다가 흥왕사(興王寺)에서 머물고, 태조의 아들이자 성종의 부친이 되는 왕욱(王旭)이 그의 제자가 되고, 태안사(泰安寺)로 돌아와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윤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손소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문민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조선금석총람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해동금석원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한국금석전문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
가릉빈가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A는 B에 조각되어 있다 |
시각자료
답사 이후 추가 예정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선주선,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탑비",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43쪽.
- ↑ "대안사광자대사비(大安寺廣慈大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이지관, "곡성 대안사 광자대사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36-361쪽.
- 선주선,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안사광자대사비(大安寺廣慈大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