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1969년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1969년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비문=== | ||
+ | 비문에 따르면 [[형미|선각대사]]는 지금의 광주 지방인 무주(武州)에서 출생하였으며, [[가지산문|가지산문(迦智山門)]]의 [[체징|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ref>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2-324쪽.</ref> [[체징]]이 입적한 후에는 891년 당(唐)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905년에 귀국하였고, 912년까지 8년간 월출산 [[강진 무위사|무위사(無爲寺)]]에 주석하였다.<ref>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5-327쪽.</ref> 이 시기에 [[형미|선각대사]]는 전라도 남부지역을 공략하러 온 [[궁예(弓裔)]]와 [[고려 태조|왕건(王建)]]을 만나게 되고, 이들을 따라 태봉의 수도인 철원으로 옮겨 머무르다가 [[궁예]]의 의심을 받아 처형되었다. 비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궁예]]가 실각한 후 [[고려 태조|왕건]]이 즉위하여 형미를 위해 탑과 사찰을 건립해주고 선각대사(先覺大師)라는 시호를 내려준 일을 이야기하고 있다.<ref>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0쪽.</ref> | ||
− | + | ===선각대사비에 나타난 궁예의 행적=== | |
− | + | 선각대사비는 다른 자료에 보이지 않는 [[궁예]]의 행적을 전하는 자료로서도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ref>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4쪽.</ref> | |
− | + | {{Blockquote|이때에 대왕께서는 일찍이 대사가 근래에 오월(吳越)에서 우리나라[秦韓]로 들어오셔서 마니보주(摩尼寶珠)를 바닷가에 감추고, 미옥(美玉)을 하늘 바깥에 감추고 계시다는 것을 들어 알고 계셨다. 그래서 먼저 글[丹詔]을 보내어 스님의 도간(道竿)에 공경을 표시하니, 대사는 왕명[制]을 받들어 험한 파도를 무릅쓰고 거친 파도를 헤치고 달려왔다. ...(중략)... 그 후 군대를 돌이킬 때에 특별히 (스님에게) 함께 돌아갈 것을 청하였고, 2~3일 사이에 북쪽해안에 이르렀다. | |
− | + | |출처=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8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존의 해석에서는 위에 인용된 비문의 "대왕(大王)"을 왕건으로 해석하여 형미를 태봉으로 초빙한 주체를 왕건으로 이해하였지만, 비문 전체의 내용으로 볼 때 "대왕"은 궁예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ref>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0쪽.</ref> | ||
− | + | <ref>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8쪽.</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103번째 줄: | 81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10-333쪽. | |
−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34쪽.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0&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3-222쪽. |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34쪽.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0&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작성중]] |
2017년 6월 16일 (금) 17:29 판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Seongak at Muwisa Temple, Gangjin |
한자 |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이칭 | 무위사선각대사편광탑비(無爲寺先覺大師遍光塔碑) |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50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9년 6월 16일 |
찬자 | 최언위(崔彦撝) |
서자 | 유훈율(柳勳律) |
각자 | 김문윤(金文允), 최환규(崔奐規)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형미(逈微) |
건립연대 | 946년 |
|
목차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신라시대의 승려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864-917)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선각대사 형미의 탑비로 정식 명칭은 고려국고무위갑사선각대사편광령탑비(高麗國故無爲岬寺先覺大師遍光靈塔碑)이다.[1] 높이 약 2.35m, 너비 1.12m로 [2]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이루어진 고려 초의 전형적인 비석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귀부와 이수 등의 사실적인 조각은 당대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3]
고려 초의 대표적 문장가로 여러 고승들의 탑비를 지은 최언위(崔彦撝)가 비문을 지었으며, 유훈율(柳勳律)이 당시에 유행하던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楷書)로 글씨를 썼다. 비석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여 현재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비석 하단의 일부는 마멸되어 판독되지 않고 있다.[4]
1969년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5]
비문
비문에 따르면 선각대사는 지금의 광주 지방인 무주(武州)에서 출생하였으며, 가지산문(迦智山門)의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6] 체징이 입적한 후에는 891년 당(唐)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905년에 귀국하였고, 912년까지 8년간 월출산 무위사(無爲寺)에 주석하였다.[7] 이 시기에 선각대사는 전라도 남부지역을 공략하러 온 궁예(弓裔)와 왕건(王建)을 만나게 되고, 이들을 따라 태봉의 수도인 철원으로 옮겨 머무르다가 궁예의 의심을 받아 처형되었다. 비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궁예가 실각한 후 왕건이 즉위하여 형미를 위해 탑과 사찰을 건립해주고 선각대사(先覺大師)라는 시호를 내려준 일을 이야기하고 있다.[8]
선각대사비에 나타난 궁예의 행적
선각대사비는 다른 자료에 보이지 않는 궁예의 행적을 전하는 자료로서도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9]
기존의 해석에서는 위에 인용된 비문의 "대왕(大王)"을 왕건으로 해석하여 형미를 태봉으로 초빙한 주체를 왕건으로 이해하였지만, 비문 전체의 내용으로 볼 때 "대왕"은 궁예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10]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형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946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유훈율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김문윤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최환규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고려 태조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2-324쪽.
-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5-327쪽.
-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0쪽.
-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4쪽.
-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0쪽.
-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18쪽.
참고문헌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10-333쪽.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3-222쪽.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3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