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번째 줄: | 5번째 줄: | ||
|영문명칭=Stele for Buddhist Monk Seongak at Muwisa Temple, Gangjin | |영문명칭=Stele for Buddhist Monk Seongak at Muwisa Temple, Gangjin | ||
|한자=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한자=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
− | |이칭= | + | |이칭=무위사선각대사편광탑비(無爲寺先覺大師遍光塔碑) |
|지정번호=보물 제507호 | |지정번호=보물 제507호 | ||
|지정일=1969년 6월 16일 | |지정일=1969년 6월 16일 | ||
|주소=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 |주소=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 ||
− | |위도= | + | |위도=34.738694 |
− | |경도= | + | |경도=126.686409 |
− | |찬자= | + | |찬자=[[최언위|최언위(崔彦撝)]] |
− | |서자= | + | |서자=[[유훈율|유훈율(柳勳律)]] |
− | |각자= | + | |각자=[[김문윤|김문윤(金文允)]], [[최환규|최환규(崔奐規)]] |
− | |서체= | + | |서체=[[해서|해서(楷書)]] |
|승려=[[형미|형미(逈微)]] | |승려=[[형미|형미(逈微)]] | ||
− | |건립연대= | + | |건립연대=946년 |
|승탑= | |승탑= | ||
|비문= | |비문=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개요=== | ||
+ | 이 비는 [[형미|선각대사 형미]]의 [[탑비]]로 정식 명칭은 고려국고무위갑사선각대사편광령탑비(高麗國故無爲岬寺先覺大師遍光靈塔碑)이다.<ref>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0&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높이 약 2.35m, 너비 1.12m로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003&cid=40942&categoryId=33382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귀부|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이수(螭首)]]로 이루어진 고려 초의 전형적인 비석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귀부]]와 [[이수]] 등의 사실적인 조각은 당대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ref>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0&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 ||
+ | |||
+ | 고려 초의 대표적 문장가로 여러 고승들의 탑비를 지은 [[최언위|최언위(崔彦撝)]]가 비문을 지었으며, [[유훈율|유훈율(柳勳律)]]이 당시에 유행하던 [[구양순체|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해서(楷書)]]로 글씨를 썼다. 비석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여 현재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비석 하단의 일부는 마멸되어 판독되지 않고 있다.<ref>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0&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ref> | ||
+ | |||
+ | 1969년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 |||
+ | ---------금석문 종합정보시스템 | ||
+ | 고려초의 문인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유훈율(柳勳律)이 구양순체의 해서로 써서 김문윤(金文允)과 최환규(崔奐規)가 새겨서 대사가 입적한 29년 후인 946년(정종 원년)에 세웠다. 귀부와 비신, 이수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비로서 사실적인 조각 기법을 보여주는데 비문은 풍화로 마멸이 심하다. | ||
+ | |||
+ | ---------답사여행의 길잡이 | ||
+ | 건립은 고려 정종 원년(946)으로 대사의 입적 후 28년이 되는 해이다. | ||
+ | |||
+ | ---------두산백과 | ||
+ | 1969년 6월 16일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 ||
+ | |||
+ | |||
+ | ---------문화재청 | ||
+ | 이 탑비는 선각대사 형미(逈微)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 ||
+ | |||
+ | ---------민백 | ||
+ | 918년 속년(俗年) 54세, 승랍(僧臘) 35세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명을 ‘편광탑(遍光塔)’이라고 하였다. | ||
+ | 이 비는 대사가 입적한 지 28 년만인 946년(정종 1)에 건립되었다. | ||
+ | 비문은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유훈율(柳勳律)이 해서로 썼다. | ||
+ | |||
+ | ---------한국금석문집성 | ||
+ | |||
+ | |||
− | + | --------- | |
===비문=== | ===비문=== | ||
+ | ---------금석문 종합정보시스템 | ||
+ | 비문의 내용은 선각대사가 탄생하여 가지산문의 체징(體澄)에게 출가하고 당(唐)에 유학하여 운거도응(雲居道膺)의 법을 전하고 귀국하여 무주의 세력가 요청으로 무위사에 머물다 왕건을 만나 왕건의 요청에 따라 함께 태봉의 서울인 철원에 가서 궁예에게 간언하다 죽음을 당하는 생애와 왕건이 고려를 개국하여 오관산의 산사를 수리하고 탑을 조성하여 장사를 지냈으며 2년 후 시호를 내린 사정을 기술하였다. | ||
+ | |||
+ | ---------답사여행의 길잡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37번째 줄: | 76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형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946년 | ||
+ | |-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유훈율]]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김문윤]]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최환규]]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
+ | |- | ||
+ | |[[고려 태조]]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 ||
|} | |} | ||
51번째 줄: | 103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34쪽. 온라인 참조: "[http://viewer.dbpia.co.kr/viewer.do?page=1&systemCode=&documentId=10000&serviceName=krpia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누리미디어. | ||
+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승탑/작성중]] |
2017년 6월 16일 (금) 16:23 판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Buddhist Monk Seongak at Muwisa Temple, Gangjin |
한자 |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이칭 | 무위사선각대사편광탑비(無爲寺先覺大師遍光塔碑) |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507호 |
문화재 지정일 | 1969년 6월 16일 |
찬자 | 최언위(崔彦撝) |
서자 | 유훈율(柳勳律) |
각자 | 김문윤(金文允), 최환규(崔奐規)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형미(逈微) |
건립연대 | 946년 |
|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신라시대의 승려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864-917)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선각대사 형미의 탑비로 정식 명칭은 고려국고무위갑사선각대사편광령탑비(高麗國故無爲岬寺先覺大師遍光靈塔碑)이다.[1] 높이 약 2.35m, 너비 1.12m로 [2]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이루어진 고려 초의 전형적인 비석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귀부와 이수 등의 사실적인 조각은 당대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3]
고려 초의 대표적 문장가로 여러 고승들의 탑비를 지은 최언위(崔彦撝)가 비문을 지었으며, 유훈율(柳勳律)이 당시에 유행하던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楷書)로 글씨를 썼다. 비석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여 현재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비석 하단의 일부는 마멸되어 판독되지 않고 있다.[4]
1969년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5]
금석문 종합정보시스템
고려초의 문인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유훈율(柳勳律)이 구양순체의 해서로 써서 김문윤(金文允)과 최환규(崔奐規)가 새겨서 대사가 입적한 29년 후인 946년(정종 원년)에 세웠다. 귀부와 비신, 이수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비로서 사실적인 조각 기법을 보여주는데 비문은 풍화로 마멸이 심하다.
답사여행의 길잡이
건립은 고려 정종 원년(946)으로 대사의 입적 후 28년이 되는 해이다.
두산백과
1969년 6월 16일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었다.
문화재청
이 탑비는 선각대사 형미(逈微)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고려 정종 원년(946)에 건립되었다.
민백
918년 속년(俗年) 54세, 승랍(僧臘) 35세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가 ‘선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명을 ‘편광탑(遍光塔)’이라고 하였다. 이 비는 대사가 입적한 지 28 년만인 946년(정종 1)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유훈율(柳勳律)이 해서로 썼다.
한국금석문집성
비문
금석문 종합정보시스템
비문의 내용은 선각대사가 탄생하여 가지산문의 체징(體澄)에게 출가하고 당(唐)에 유학하여 운거도응(雲居道膺)의 법을 전하고 귀국하여 무주의 세력가 요청으로 무위사에 머물다 왕건을 만나 왕건의 요청에 따라 함께 태봉의 서울인 철원에 가서 궁예에게 간언하다 죽음을 당하는 생애와 왕건이 고려를 개국하여 오관산의 산사를 수리하고 탑을 조성하여 장사를 지냈으며 2년 후 시호를 내린 사정을 기술하였다.
답사여행의 길잡이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형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946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최언위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유훈율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김문윤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최환규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고려 태조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 최연식,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한국국학진흥원, 2014, 20-3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9", 한국금석문집성 19 : 고려3 비문3,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