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 | {{복식정보 |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철릭 | ||
+ | |한자표기= 帖裏 | ||
+ | |이칭별칭= 天益, 天翼, 粘裏, 添里, 綴翼 | ||
+ | |구분= 의복 | ||
+ | |착용신분= | ||
+ | |착용성별= 남성 | ||
+ | }} | ||
+ | |||
+ | ==정의== | ||
+ | |||
+ | ==내용== | ||
+ | ===복식 구성=== | ||
+ | ===착용 신분=== | ||
+ | ===착용 상황=== | ||
+ | ===형태=== | ||
+ | ===기타===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시간정보=== | ||
+ | ===공간정보===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더 읽을거리=== | ||
+ | ===유용한 정보=== | ||
+ |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2017년 6월 28일 (수) 23:57 판
철릭 (帖裏) |
|
대표명칭 | 철릭 |
---|---|
한자표기 | 帖裏 |
이칭별칭 | 天益, 天翼, 粘裏, 添里, 綴翼 |
구분 | 의복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내용
복식 구성
착용 신분
착용 상황
형태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 철릭은 몽골족의 옷에서 유래한 것이다. 몽골어의 ‘Telig’을 음차한 것이기 때문에 한자로 ‘天益’, ‘天翼’, ‘帖裏’, ‘粘裏’, ‘添里’, ‘綴翼’ 등 다양한 표기가 보인다.
- 철릭은 조선 초기부터 빈번히 중국에서 사여되어 왕으로부터 별감 등 중인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에서 두루 입었던 옷이다. 군복[戎服], 관복의 밑받침 옷으로 혹은 일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당시의 복식으로는 매우 활동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 철릭은 상의와 치마[下裳]를 따로 재단한 다음 치마 윗부분에 주름을 잡아서 상의에 꿰매 이은 옷이다. 양쪽 소매 혹은 한쪽 소매에 매듭단추를 달아 소매를 떼었다 붙였다할 수 있게 만들기도 하였는데 이는 활동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 철릭은 시대에 따라 상의와 치마의 길이 비례가 달라지는데 상의와 치마를 연결한 허리선의 위치는 철릭의 시대를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의와 상의 비율을 보면 조선 초기에는 의가 상보다 길어 ‘의:상’의 비율이 1.2:1이다. 하지만 후기로 갈수록 점차 상이 더 길어져 19세기 말에는 의와 상의 비율이 1:3.6에 이른다. 치마의 허리부분 주름은 0.2㎝ 내외로 가늘게 잡기도 하고, 2~3㎝ 정도로 넓게 잡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