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혜(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복식님이 혜(남성용)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혜(남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혜
 
|대표명칭= 혜
|한자표기=  
+
|한자표기=
 
|이칭별칭=  
 
|이칭별칭=  
|복식구분= 신
+
|구분= 신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신분=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단령]], [[도포]]
 
|필드수= 7
 
 
}}
 
}}
  

2017년 6월 28일 (수) 23:07 판



(鞋)
대표명칭
한자표기
구분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목이 없는 신인 혜는 조선시대 왕실 사람들과 양반이 일상복에 신던 고급 신이다. 주로 가죽과 비단으로 만들었다. 조선후기에는 신분제도가 완하되면서 신분이 낮은 중인들까지 널리 신게 되어 조선시대 남녀의 대표적인 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일상 생활을 할 때 착용한다.

형태

신목이 없는 와 비슷한 형태이다. 피혁, 풀, 삼, 포백, 종이, 나무 등 재료가 다양한데 재료나 장식에 따라 이름이 붙었다.[2]

기타

남성용 혜는 태사혜, 녹비혜, 흑피혜, 유혜 등이 있다.
혜와 함께 목이 없는 신의 명칭으로 리가 혼용되어 쓰였는데, 리가 더 이른 시기의 문헌에 등장한다. 혜는 리와 함께 통용되다가 점차 혜를 사용하는 비중이 더 늘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목이 없는 신을 혜로 통칭하여 부른 것은 조선시대 들어선 뒤부터 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혜(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혜(남성)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혜(남성)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혜(남성) A는 B에 착용한다
혜(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45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792쪽.
  3. 최공호·박계리·고우리·진유리·김소정, 『한국인의 신발, 화혜』, 미진사, 2015, 46~47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