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26번째 줄: 26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
 
 +
이 비의 규모는 비신 높이 3.15m, 폭 1.42m로서,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 대상 지역에 있던 비를 1983년 원래 위치 북동쪽에 현 위치로 옮겼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배게,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893&cid=42840&categoryId=42853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충주 정토사지|정토사 터]]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선사 [[현휘|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의 비이다. 941년([[고려 태조|태조]] 24) 63세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태조]]가 시호를 ‘법경(法鏡)’, 탑 이름을 ‘자등(慈燈)’이라 내리어 943년([[고려 태조|태조]] 26) [[현휘|법경대사]]의 공덕을 칭송하는 탑비를 세웠다.<ref>서동형,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2002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려초의 문인 [[최언위|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제액|제액(題額)]]은 [[고려 태조|태조]]가, 비문은 [[구족달|구족달(仇足達)]]이 비면에 정간(井間)을 치고 [[해서|해서(楷書)]]로 써서 [[광예|광예(光乂)]]·[[장초|장초(壯超)]]·[[행총|행총(幸聰)]]·[[행초|행초(行超)]]가 새겨 대사가 입적한 2년 후인 943년([[고려 태조|태조]] 26)에 세웠고 후면은 944년에 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1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충주 정토사지|정토사 터]]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선사 [[현휘|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의 비이다. 941년([[고려 태조|태조]] 24) 63세로 입적하자 [[고려 태조|태조]]가 시호를 ‘법경(法鏡)’, 탑 이름을 ‘자등(慈燈)’이라 내리어 943년([[고려 태조|태조]] 26) [[현휘|법경대사]]의 공덕을 칭송하는 탑비를 세웠다.<ref>서동형,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2002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려초의 문인 [[최언위|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제액|제액(題額)]]은 [[고려 태조|태조]]가, 비문은 [[구족달|구족달(仇足達)]]이 비면에 정간(井間)을 치고 [[해서|해서(楷書)]]로 써서 [[광예|광예(光乂)]]·[[장초|장초(壯超)]]·[[행총|행총(幸聰)]]·[[행초|행초(行超)]]가 새겨 대사가 입적한 2년 후인 943년([[고려 태조|태조]] 26)에 세웠고 후면은 944년에 썼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1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32번째 줄: 34번째 줄:
  
 
비문은 41행에 1행 89자의 구성으로 된 대형 비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1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비 앞면에 3,200여 자를 새기고 비 뒷면에 300여 자가 있으나 마모가 심하다.<ref>서동형,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2002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비문은 41행에 1행 89자의 구성으로 된 대형 비이다.<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3101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ref> 비 앞면에 3,200여 자를 새기고 비 뒷면에 300여 자가 있으나 마모가 심하다.<ref>서동형,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2002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비의 규모는 비신 높이 3.15m, 폭 1.42m로서,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 대상 지역에 있던 비를 1983년 원래 위치 북동쪽에 현 위치로 옮겼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배게,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5893&cid=42840&categoryId=42853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비문===
 
===비문===

2017년 6월 14일 (수) 20:07 판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Beopgyeong at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한자 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
이칭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6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7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최언위(崔彦僞)
서자 구족달(仇足達)
각자 광예(光乂), 장초(壯超), 행총(幸聰), 행초(行超)
서체 해서(楷書)
승려 현휘(玄暉)
건립연대 943년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정토사지(淨土寺址)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승려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 879-941)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의 규모는 비신 높이 3.15m, 폭 1.42m로서, 충주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 대상 지역에 있던 비를 1983년 원래 위치 북동쪽에 현 위치로 옮겼다.[1]

정토사 터에 있는 신라말 고려초의 선사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의 비이다. 941년(태조 24) 63세로 입적하자 태조가 시호를 ‘법경(法鏡)’, 탑 이름을 ‘자등(慈燈)’이라 내리어 943년(태조 26) 법경대사의 공덕을 칭송하는 탑비를 세웠다.[2] 고려초의 문인 최언위(崔彦撝)가 짓고 제액(題額)태조가, 비문은 구족달(仇足達)이 비면에 정간(井間)을 치고 해서(楷書)로 써서 광예(光乂)·장초(壯超)·행총(幸聰)·행초(行超)가 새겨 대사가 입적한 2년 후인 943년(태조 26)에 세웠고 후면은 944년에 썼다.[3]

이 비는 귀부(龜趺), 비신, 이수(螭首)가 완전하게 남아 있는데, 한국전쟁 시 이 지역에서 격전을 치러 빗돌에는 많은 총탄자국이 남게 되었다.[4]

비문은 41행에 1행 89자의 구성으로 된 대형 비이다.[5] 비 앞면에 3,200여 자를 새기고 비 뒷면에 300여 자가 있으나 마모가 심하다.[6]

비문

전면

비문 내용은 법경대사가 전주에서 태어나 출가한 후 당에 건너가 도건(道虔)의 법을 받고 돌아와 태조에 의해 국사 대우를 받고 정토사(淨土寺)에 머물며 이 지역 호족 유권열(劉權說)의 귀의를 받고 활동하다 입적한 사실을 기술하였다.

후면

후면에 도속(道俗)의 많은 사람들을 열거하여 대덕, 대통 등 승려와 좌승, 원보, 원윤, 좌윤, 그리고 지방 자체의 집사부, 병부, 창부 등의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에 원주, 전좌, 사, 직세, 도유나의 확대된 삼강직이 보인다.[7]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A는 B에 있다
태조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현휘 A는 B를 위한 비이다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최언위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구족달 A는 B가 비문을 썼다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광예, 장초, 행총, 행초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돌배게, 1998. 온라인 참조: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 답사여행의 길잡이12 - 충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서동형,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4.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6. 서동형,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