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도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http://metarch.cafe24.com/metarki/index.php/고산구곡도설 고산구곡도설 페이지 링크]'''
 
  
[[분류:한글고문서]]
+
<!-- 틀 내용 :★ 최신 버전에 맞게 수정하기-->
 +
{{문헌정보
 +
|대표명칭 = 고산구곡도설
 +
|DB유형 = 한글고문서
 +
|ID =
 +
|문헌제목 = 고산구곡도설
 +
|한자제목 = 高山九曲圖說
 +
|로마자표기 =
 +
|영역제목 =
 +
|저자 = 권섭(權燮)
 +
|역자 =
 +
|주석자 =
 +
|편자 =
 +
|연도1 =
 +
|연도1연호 =
 +
|연도1연호년 =
 +
|연도2 =
 +
|연도2연호 =
 +
|연도2연호년 =
 +
|출판사 =
 +
|출판지 =
 +
|ISBN =
 +
|판종 =
 +
|크기 =
 +
|소장처 = 충청북도 제천시 의암로 566-7 (봉양읍, 의암거택)
 +
|문화재지정사항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64호
 +
|image = 한글팀_고산구곡도설1.jpg
 +
}}
 +
==문헌소개==
 +
&nbsp;&nbsp; [[권섭 | 옥소(玉所) 권섭(權燮)]]의 「[[옥소장계 | 옥소장계(玉所藏呇)]]」에 수록되어 있으며, <[[고산구곡도]]>의 제작 경위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 내용에 따르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546 이이]의 서현손(庶玄孫)인 이석(?: 李[禾+奭])이 그린 <고산구곡도>를 원만령(元萬齡)이 소장하고 있다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582 김수증(金壽增)]에게 주었다. 그리고 김수증으로부터 그 작품을 증여받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98 송시열(宋時烈)]은 김수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9587 김수항(金壽恒)],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944 권상하(權尙夏)] 등 9명에게 <고산구곡가>의 차운시를 짓게 하여 그림과 함께 장정(裝幀)하였다고 한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 내용 중 일부 발췌 및 편집. 다만, 이이의 서현손 이름을 禾 변이 아니라 사람인변이나 두인변 혹은 삼수변으로 볼 수도 있겠다. 인명으로 사용한(만든?) 글자이기에 실사변의 가능성은 배제하는 게 좋겠다. 원문의 앞부분에서는 사람인변 모양이 거의 확실해 보이기도 한다.<!--고민 with 조광현--></ref> <br/>
 +
 
 +
==기록유산스토리자원==
 +
* 현대의 17권본 전집 『[https://ko.wikipedia.org/wiki/%EC%98%A5%EC%86%8C%EA%B3%A0 옥소고]』의 제11권에 「옥소장계」가 실려 있다.<ref>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제11권, 서울:다운샘, 2007, 448~451쪽에서 확인이 된다. 『옥소고』의 문화재지정사항 및 기타 정보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8%A5%EC%86%8C%EA%B3%A0 위키백과 '옥소고'] 및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3640000,33&flag=Y 문화재청 문화재검색 '옥소고'] 참고.</ref> 이곳의 내용을 아래에 대표 이미지들로 제시한다.
 +
 
 +
==대표 이미지==
 +
[[파일:한글팀_고산구곡도설1.jpg|700픽셀|「고산구곡도설」, 「옥소장계」,『옥소고』]]<br/>
 +
[[파일:한글팀_고산구곡도설2.jpg|700픽셀|「고산구곡도설」, 「옥소장계」,『옥소고』]]
 +
 
 +
==연계 항목==
 +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
{|class="wikitable"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
|고산구곡도설 || 전시자료 ||
 +
|-
 +
|고산구곡도설 || 보유 문화재 ||
 +
|-
 +
|고산구곡도설 || 관련 인물 ||
 +
|-
 +
|고산구곡도설 || 관련 공간 ||
 +
|}
 +
(* 임시 테스트본)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유형 || 건수 || width="80%"|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
|-
 +
|전시자료 || 1 || * [[Indicates::고산구곡도]] 
 +
|-
 +
|문헌작품 || 1 || * [[Resides in::옥소장계]] 
 +
|}
 +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_고산구곡도설1.jpg | 『옥소고』제11권 448~449쪽
 +
파일:한글팀_고산구곡도설2.jpg | 『옥소고』제11권 450~451쪽
 +
</gallery>
 +
 
 +
==참조==
 +
 
 +
<references/>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문헌]]
 +
[[분류:필사본]]

2017년 10월 2일 (월) 10:14 판


고산구곡도설()
[[file:|270px|thumb|center|]]
대표명칭 고산구곡도설
저자 권섭(權燮)
소장처 충청북도 제천시 의암로 566-7 (봉양읍, 의암거택)


문헌소개

   옥소(玉所) 권섭(權燮)의 「 옥소장계(玉所藏呇)」에 수록되어 있으며, <고산구곡도>의 제작 경위를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 내용에 따르면 이이의 서현손(庶玄孫)인 이석(?: 李[禾+奭])이 그린 <고산구곡도>를 원만령(元萬齡)이 소장하고 있다가 김수증(金壽增)에게 주었다. 그리고 김수증으로부터 그 작품을 증여받은 송시열(宋時烈)은 김수증, 김수항(金壽恒), 권상하(權尙夏) 등 9명에게 <고산구곡가>의 차운시를 짓게 하여 그림과 함께 장정(裝幀)하였다고 한다.[1]

기록유산스토리자원

  • 현대의 17권본 전집 『옥소고』의 제11권에 「옥소장계」가 실려 있다.[2] 이곳의 내용을 아래에 대표 이미지들로 제시한다.

대표 이미지

「고산구곡도설」, 「옥소장계」,『옥소고』
「고산구곡도설」, 「옥소장계」,『옥소고』

연계 항목

(* 시맨틱 프로세스 추가 후 자동 생성 예정)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고산구곡도설 전시자료
고산구곡도설 보유 문화재
고산구곡도설 관련 인물
고산구곡도설 관련 공간

(* 임시 테스트본)

유형 건수 피연계 노드 (내부 자원)
전시자료 1 * Indicates::고산구곡도
문헌작품 1 * Resides in::옥소장계

갤러리

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산구곡도' 내용 중 일부 발췌 및 편집. 다만, 이이의 서현손 이름을 禾 변이 아니라 사람인변이나 두인변 혹은 삼수변으로 볼 수도 있겠다. 인명으로 사용한(만든?) 글자이기에 실사변의 가능성은 배제하는 게 좋겠다. 원문의 앞부분에서는 사람인변 모양이 거의 확실해 보이기도 한다.
  2.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제11권, 서울:다운샘, 2007, 448~451쪽에서 확인이 된다. 『옥소고』의 문화재지정사항 및 기타 정보는 위키백과 '옥소고'문화재청 문화재검색 '옥소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