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 관계망=)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지식 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 ||
2017년 6월 13일 (화) 19:28 판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
작가 | 정창섭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당시 조헌(趙憲)과 승장 영규(靈圭)는 전라도로 향하는 왜군을 막기 위해 금산(錦山)으로 향했으나, 전공을 시기하는 관군의 방해로 의병이 대부분 해산되고, 700명의 의병과 800명의 승병으로 2차 금산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의병들과 함께 모두 전사하였다.
해당 작품은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趙憲)과 승장 영규(靈圭)의 전투장면을 그린 기록화로,[1] 2차 금산전투의 장면을 담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안되어 화살이 다하고 날도 저물어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 휘하의 군사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고 한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2]
하고 끝까지 싸움을 지휘하였고, 그 휘하의 군사들도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모두 그와 함께 전사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 그려져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영규대사로, 작품에서는 영규의 승병은 보이지 않는다.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과 영규대사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8월 18일 새벽으로, 동이 트고 있는 하늘을 붉게 칠하여 새벽임을 표현하였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3]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조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영규대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금산전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연곤평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전쟁기념관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현재 |
감사원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
임진왜란 | 금산전투 | A를 B를 포함한다 | |
조헌 | 금산전투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592년 8월 |
영규대사 | 금산전투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592년 8월 |
권율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헌 | 권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권율 | 행주대첩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휴정 | 영규대사 | A는 B의 스승이다 | |
이이 | 조헌 | A는 B의 스승이다 | |
조헌 | 지부복궐상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지부복궐상소 | 최익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헌 | 조헌 표준영정 | A는 B의 모델이다 | |
김기창 | 조헌 표준영정 | A는 B를 그렸다 | |
금산 칠백의총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종용사 | 금산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 조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조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영규대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정창섭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을 소장하고 있다 |
1592년 8월 | 조헌이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1592년 8월 | 영규대사가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을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 ↑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서비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3쪽.
- ↑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참고문헌
- 웹자원
- "금산 칠백의총",
『문화재청 온라인서비스』online , 문화재청,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금산 칠백의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