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대(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Monica-jang (토론 | 기여) (→갤러리)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옥대 02 고궁박물관.jpg|왕자 옥대</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옥대 02 고궁박물관.jpg|왕자 옥대<br/>고궁박물관(www.gogung.go.kr). |
</gallery> | </gallery> | ||
2017년 6월 11일 (일) 00:26 판
옥대 (玉帶) |
|
[[file:|360px|thumb|center|고궁박물관(www.gogung.go.kr)]] | |
대표명칭 | 옥대 |
---|---|
한자표기 | 玉帶 |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옥으로 만든 띠돈을 장식한 혁대로 포(袍) 위에 띠는 대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상황
대례복인 면복 차림이나 조복인 통천관복·원유관복 차림, 상복인 곤룡포 차림을 할 때 착용한다.
형태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비단을 씌우고 그 위에 5줄의 금색 줄을 그린 후 옥으로 된 과판을 붙여 장식한다. 왕의 옥대에는 대홍색 비단을, 왕세자의 옥대에는 흑색 비단을 사용했다. 왕의 옥대는 무늬를 아로새긴 옥으로 과판을 만들었다.[1]
기타
조선 초기에는 면복용 옥대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17세기 인조 때 처음 면복에 사용하기 시작했다. 전례서에는 18세기 정조 때의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와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에 옥대가 기록되기 시작했다. 왕세손은 수정대를 띤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옥대(왕실남성)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옥대(왕실남성)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옥대(왕실남성)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옥대(왕실남성)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
옥대(왕실남성)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