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탑비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영문명칭=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한자=...) |
(→개요)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귀부 높이 75cm, 이수 높이 99cm.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는 현재 귀부와 이수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비신은 일찍이 무너져서 깨어진 몸돌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583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65164253?Redirect=Log&from=postView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3월 24일.</ref> | 귀부 높이 75cm, 이수 높이 99cm.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는 현재 귀부와 이수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비신은 일찍이 무너져서 깨어진 몸돌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583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ref>행복한놀부, "[http://yinolbu.blog.me/150165164253?Redirect=Log&from=postView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3월 24일.</ref> | ||
− | 비를 이고 있었던 돌거북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에 가까운 머리를 하고 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네 발로 바닥을 | + | 비를 이고 있었던 돌거북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에 가까운 머리를 하고 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네 발로 바닥을 딛고 있다.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에 가까운데 그 안에는 만(卍)자 무늬와 연꽃이 새겨져 있다. 이수는 앞면 중앙에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다른 두 마리는 양 귀퉁이에서 옆을 쳐다보고 있다. 뒷면에도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630000,32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검색』<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비문은 태조가 짓고 [[최광윤|최광윤(崔光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글씨는 2∼4㎝의 행서로 통일신라 말엽 당태종의 글씨가 전래되었다는 기록을 입증해주는 좋은 자료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583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보물 제463호로 지정되어있다. | 비문은 태조가 짓고 [[최광윤|최광윤(崔光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글씨는 2∼4㎝의 행서로 통일신라 말엽 당태종의 글씨가 전래되었다는 기록을 입증해주는 좋은 자료이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583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보물 제463호로 지정되어있다. |
2017년 6월 7일 (수) 14:17 판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
|
대표명칭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
주소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517-2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463호 |
문화재 지정일 | 1968년 7월 5일 |
찬자 | 고려 태조(高麗 太祖) |
서자 | 당나라 태종 |
승려 | 충담(忠湛) |
승탑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원주 흥법사지에 있는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 869-940)의 탑비.
내용
개요
귀부 높이 75cm, 이수 높이 99cm.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는 현재 귀부와 이수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비신은 일찍이 무너져서 깨어진 몸돌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1][2]
비를 이고 있었던 돌거북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에 가까운 머리를 하고 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네 발로 바닥을 딛고 있다.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에 가까운데 그 안에는 만(卍)자 무늬와 연꽃이 새겨져 있다. 이수는 앞면 중앙에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다른 두 마리는 양 귀퉁이에서 옆을 쳐다보고 있다. 뒷면에도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다.[3]
비문은 태조가 짓고 최광윤(崔光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글씨는 2∼4㎝의 행서로 통일신라 말엽 당태종의 글씨가 전래되었다는 기록을 입증해주는 좋은 자료이다.[4] 현재 보물 제463호로 지정되어있다.
비문
전면
후면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충담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충락,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행복한놀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 작성일: 2013년 3월 24일.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