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한자표기= 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한자표기= 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주제= [[책례|책례(冊禮)]]
 
|주제= [[책례|책례(冊禮)]]
|작성주체= [[가례도감|가례도감(嘉禮都監)]]
+
|작성주체= [[책례도감|책례도감(冊禮都監)]]
 
|의례담당자= [[정호|정호(鄭澔)]]
 
|의례담당자= [[정호|정호(鄭澔)]]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지역= 한성부
20번째 줄: 20번째 줄:
  
 
=='''정의'''==
 
=='''정의'''==
1725년(영조 1년) [[효장세자|효장세자(孝章世子]], 1719~1728)의 [[책봉]]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1725년 [[효장세자|효장세자(孝章世子]]를 왕세자로 책봉(冊封)하는 과정을 기록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216300 의궤]이다.
  
 
=='''내용'''==
 
=='''내용'''==
우윤(右尹) [[심정보|심정보(沈廷輔)]]의 세자 [[책봉]] 상소(上疏, 임금에게 글을 올리던 일)를 계기로 [[예조판서]] [[민진원|민진원(閔鎭遠)]], [[이조판서]] [[이의현|이의현(李宜顯)]] 등 신료(臣僚, 모든 신하)들의 청이 이어지자, 결국 [[영조]]가 수락함으로써 경의군(敬義君)의 세자 [[책봉]]이 결정되었다. 이후 3월 20일 [[인정전]]에서 [[효장세자]]의 책봉식이 거행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효장세자의 왕세자 책봉을 위해 1725년 2월 28일 도감 운영의 여러 규정을 제정한 책례도감사목(冊禮都監事目)[[영조]]에게 올려졌다. 이후 3월 20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목록===
 
===목록===
 
상책: 좌목(座目), 별단(別單), 사목(事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품목(稟目), 이문(移文), 내관(來關), 감결(甘結), 의궤(儀軌), 서계(書啓), 논상(論賞)<br/>
 
상책: 좌목(座目), 별단(別單), 사목(事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품목(稟目), 이문(移文), 내관(來關), 감결(甘結), 의궤(儀軌), 서계(書啓), 논상(論賞)<br/>
 
하책: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하책: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특징===
 
1725년의 [[효장세자]]의 [[책례]]는 [[영조]]가 신하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책봉]]이 결정되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효장세자]]의 [[책례]]는  1721년(경종 1년) 왕세제 [[책례]]의 전례를 따르고
 
있음을 기록하고 있다.
 
  
 
===해제===
 
===해제===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20&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br/>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20&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br/>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21&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br/>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21&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br/>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954975&pos=0&total_df=1&uci=GK14909_00&sWord=%ED%9A%A8%EC%9E%A5%EC%84%B8%EC%9E%90%EC%B1%85%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setid=1954975&pos=0&total_df=1&uci=GK14909_00&c1=&c2=&c3=&sType=&sWord=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판본===
43번째 줄: 39번째 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7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720)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문헌 → 소장처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PAGENAM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PAGENAM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문헌 → 복식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PAGENAME}}'''  || [[책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1725년 3월 20일 || [[효장세자]]의 [[책례]]가 거행되었다
 +
|-
 +
| 1725년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
  
===문헌 → 의례 ===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항목A!!항목B!!관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 [[책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37.5794592 || 126.9910284 || [[창덕궁]] [[인정전]]에서 [[효명세자]]의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
 
|}
  
===의례 → 기관 ===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가상현실===
!항목A!!항목B!!관계
+
반차도VR 추가 예정
|-
+
 
| [[책례]]  || [[책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주석'''==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더 읽을거리===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의궤]]

2017년 6월 6일 (화) 17:49 판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한자표기 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주제 책례(冊禮)
작성주체 책례도감(冊禮都監)
의례담당자 정호(鄭澔)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25년(영조 1)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정부)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2책 425장(상책 245장, 하책 180장)
태백산: 총 2책 422장(상책 242장, 하책 180장)
도설 18면(상책 4면, 하책 14면)(채색)
반차도 68면(하책)(채색)



정의

1725년 효장세자(孝章世子를 왕세자로 책봉(冊封)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효장세자의 왕세자 책봉을 위해 1725년 2월 28일 도감 운영의 여러 규정을 제정한 책례도감사목(冊禮都監事目)이 영조에게 올려졌다. 이후 3월 20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목록

상책: 좌목(座目), 별단(別單), 사목(事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품목(稟目), 이문(移文), 내관(來關), 감결(甘結), 의궤(儀軌), 서계(書啓), 논상(論賞)
하책: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48), (2686), (264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의정부본(奎 1490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720)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책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25년 3월 20일 효장세자책례가 거행되었다
1725년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94592 126.9910284 창덕궁 인정전에서 효명세자의 책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