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Monica-jang (토론 | 기여) (→착용상황)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착용상황=== | ===착용상황=== | ||
− | + | 도포, 학창의 등 포류를 입을 때 착용한다. | |
===형태=== | ===형태=== |
2017년 6월 5일 (월) 23:19 판
세조대 (細絛帶)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세조대 |
---|---|
한자표기 | 細絛帶 |
이칭별칭 | 세조아, 사대, 조대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착용상황
도포, 학창의 등 포류를 입을 때 착용한다.
형태
실을 엮어 끈을 짠 것으로 광다회에 비해 얇고 좁으므로 세조대라 한다. 끝에 딸기술이나 봉술을 매달아서 마무리를 했는데 주로 도포, 전복 등과 같은 남자 옷 위에 착용하였다.[1]
기타
품계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하였는데 『경국대전』에 따르면 1품에서 3품은 홍조아를, 4품에서 9품은 청조아를 띠도록 하였다. 또한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에는 당상관의 띠는 홍색과 자색, 당하관은 청색과 녹색, 유생은 혁대를 사용하도록 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 밖에도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세조대 | 왕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세조대 | 왕세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세조대 | 왕세손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세조대 | 갓 | A는 B에 착용한다 |
세조대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46~44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