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과 두 개의 비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기사 작성 방향) |
(→기사 작성 방향)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 관계: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 관계: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
− | * | + | * 기사의 내용은 한두 문장으로 간략하게 작성하고, 항목에 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원들을 나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음 |
+ | ** 본 프로젝트에서 위키 기사의 역할은, 해당 항목에 관한 정보를 탐색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접근해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판단됨 | ||
+ | |||
+ | * | ||
=='''네트워크 그래프'''== | =='''네트워크 그래프'''== |
2016년 12월 28일 (수) 05:50 판
주제 소개
도선(道詵)은 신라 말기의 승려로, 도선과 관련된 비문은 두 가지가 전해져오고 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1653년 건립, 비 현존.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1173년 건립, 비는 현존하지 않음, 『동문선(東文選)』을 통해 확인 가능.
이 두 비문을 중심으로 비문에서 확인되는 정보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작하였다.
온톨로지
Class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사찰: 도갑사(道岬寺), 화엄사(華嚴寺)
- 승려: 도선(道詵), 혜철(惠徹), 도의(道義), 홍척(洪陟), 염거(廉居), 체징(體澄), 수미(守眉), 일행(一行), 지장(智藏)
- 인물: 왕건(王建), 이경석(李景奭), 송시열(宋時烈), 오준(吳竣), 정두경(鄭斗卿), 최유청(崔惟淸), 정서(鄭叙)
- 유적: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문헌: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동문선(東文選)
- 공간: 경기도박물관
- 사건: 병자호란(丙子胡亂)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동리산문(桐裏山門), 실상산문(實相山門), 구산선문(九山禪門), 가지산문(迦智山門)
Relation
- 는_-에_있다
- 는_-를_위한_비이다
-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는_-가_비문을_썼다
- 은_-에_언급되었다
- 은_-로부터_수학했다
- 은_-을_창건하였다
- 는_-와_관련있다
- 은_-에_있다
- 은_-에서_수학했다
- 은_-에_있었다
- 은_-에_수록되어_있다
- 은_-을_개창하였다
- 은_-에_해당된다
- 은_-에서_확인된다
기사 작성 방향
- 10개의 기사 항목 중 9개 항목은 클래스를 기준으로 대표성을 가지는 노드를 선정하여 작성
- 탑비: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사찰: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승려: 도선(道詵)
- 인물: 이경석(李景奭)
- 유물: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유적: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문헌: 동문선(東文選)
- 공간: 경기도박물관
- 개념: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노드 뿐만 아니라 관계(Relation, 서술어)를 위한 페이지 제작을 제안함
- 관계: 는_-가_비문을_지었다
- 기사의 내용은 한두 문장으로 간략하게 작성하고, 항목에 관하여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원들을 나열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음
- 본 프로젝트에서 위키 기사의 역할은, 해당 항목에 관한 정보를 탐색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접근해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판단됨
네트워크 그래프
관계 목록
Node | Relation | Node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에 있다 |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를 위한 비이다 | 도선(道詵)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를 위한 비이다 | 수미(守眉)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이경석(李景奭)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썼다 | 오준(吳竣)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정두경(鄭斗卿) |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 은 -에 언급되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도선(道詵)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일행(一行) |
도선(道詵) | 은 -을 창건하였다 | 영암 도갑사(靈巖 道岬寺) |
왕건(王建) | 은 -에 언급되었다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이경석(李景奭)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 는 -가 비문을 썼다 | 오준(吳竣)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 는 -와 관련있다 | 병자호란(丙子胡亂) |
이경석(李景奭) | 는 -와 관련있다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은 -에 있다 | 경기도박물관 |
송시열(宋時烈) | 는 -와 관련있다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는 -를 위한 비이다 | 도선(道詵)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최유청(崔惟淸)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는 -가 비문을 썼다 | 정서(鄭叙) |
왕건(王建) | 은 -에 언급되었다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도선(道詵) | 은 -에서 수학했다 | 화엄사(華嚴寺) |
도선(道詵)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혜철(惠徹)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은 -에 있었다 |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
백계산 옥룡사 증시 선각국사 비명(白鷄山 玉龍寺 贈諡 先覺國師 碑銘) | 은 -에 수록되어 있다 | 동문선(東文選) |
혜철(惠徹)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지장(智藏) |
도의(道義)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지장(智藏) |
홍척(洪陟)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지장(智藏) |
혜철(惠徹) | 은 -을 개창하였다 | 동리산문(桐裏山門) |
동리산문(桐裏山門) | 은 -에 해당된다 | 구산선문(九山禪門) |
홍척(洪陟) | 은 -을 개창하였다 | 실상산문(實相山門) |
실상산문(實相山門) | 은 -에 해당된다 | 구산선문(九山禪門) |
염거(廉居)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도의(道義) |
체징(體澄) | 은 -로부터 수학했다 | 염거(廉居) |
체징(體澄) | 은 -을 개창하였다 | 가지산문(迦智山門) |
도선국사 부도탑지(道詵國師 浮屠塔址) | 은 -에서 확인된다 | 광양 옥룡사지(光陽 玉龍寺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