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영선-인천판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개요'''==
+
=='''정의'''==
 
[[한국유리|인천 판유리 공장]]의 전경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한국유리|인천 판유리 공장]]의 전경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0년대 초기 한반도 유리 산업을 태동시킨 유일의 판유리 공장이었다. 1997년 6월 공장이 군산으로 이전되면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0년대 초기 한반도 유리 산업을 태동시킨 유일의 판유리 공장이었다. 1997년 6월 공장이 군산으로 이전되면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29번째 줄: 29번째 줄: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파일:오승우-포항종합제철-1973s.jpg |[[오승우-포항종합제철]]
 
파일:김원-마산공업단지-1973s.jpg |[[김원-마산공업단지]]
 
파일: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1973s.jpg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파일:박항섭-한양화학공업-1975s.jpg |[[박항섭-한양화학공업]]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파일:양인옥-기아산업-1975s.jpg |[[양인옥-기아산업]]
 
파일: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박득순-현대조선소]]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오승윤-구미전자공업]]
 
파일:김종하-한일합섬-1973s.jpg |[[김종하-한일합섬]]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파일:이용환-삼도물산-1975s.jpg|[[이용환-삼도물산]]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 |[[최영림-대동공업]]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파일:김숙진-한국비료-1973s.jpg |[[김숙진-한국비료]]
 
파일: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박영선-인천판유리]]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 |[[하인두-동명목재]]
 
</gallery>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70번째 줄: 49번째 줄: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81번째 줄: 60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88번째 줄: 67번째 줄:
 
|}
 
|}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
파일:오승우-포항종합제철-1973s.jpg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파일:김원-마산공업단지-1973s.jpg |[[김원-마산공업단지]]
 +
파일: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1973s.jpg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파일:박항섭-한양화학공업-1975s.jpg |[[박항섭-한양화학공업]]
 +
파일:김태-신진자동차-1973s.jpg |[[김태-신진자동차]]
 +
파일:양인옥-기아산업-1975s.jpg |[[양인옥-기아산업]]
 +
파일:박득순-현대조선소-1973s.jpg |[[박득순-현대조선소]]
 +
파일:박창돈-금성사-1973s.jpg |[[박창돈-금성사]]
 +
파일:오승윤-구미전자공업-1975s.jpg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파일:김종하-한일합섬-1973s.jpg |[[김종하-한일합섬]]
 +
파일:박창돈-선경(모직)-1975s.jpg |[[박창돈-선경(모직)]]
 +
파일:박항섭-한국기계-1973s.jpg |[[박항섭-한국기계]]
 +
파일:이용환-삼도물산-1975s.jpg|[[이용환-삼도물산]]
 +
파일:최영림-대동공업-1975s.jpg |[[최영림-대동공업]]
 +
파일: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 |[[김창락-쌍용시멘트]]
 +
파일:김숙진-한국비료-1973s.jpg |[[김숙진-한국비료]]
 +
파일: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박영선-인천판유리]]
 +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 |[[하인두-동명목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font color="red">'''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font>
  
=='''참고문헌'''==
+
===갤러리===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1992, 43쪽.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인천판유리 1957년사진.jpg|<center>인천 판유리 공장 1957년 당시 모습</center><ref>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ref>
*겨울아이, "[http://blog.naver.com/glassshop/50000631885 한국유리산업의 뿌리-3대 기간산업으로 출발, 초고속 성장]", 『네이버 블로그 - 겨울아이의 블로그』, 작성일: 2006년 01월 03일.
+
</gallery>
 +
===영상===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1992, 43쪽.
 +
#웹자원
 +
#*KKKK8155, "[http://blog.naver.com/kkkk8155/220807377641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
#*겨울아이, "[http://blog.naver.com/glassshop/50000631885 한국유리산업의 뿌리-3대 기간산업으로 출발, 초고속 성장]", 『네이버 블로그 - 겨울아이의 블로그』, 작성일: 2006년 01월 03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광공업]]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광공업]]

2017년 6월 14일 (수) 22:48 판


박영선-인천판유리
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작가 박영선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인천 판유리 공장의 전경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6년 2월 14일 운크라[1]의 지원으로 인천 만석동에 세워졌다. 이후 충주비료공장, 문경시멘트와 함께 3대 기간산업으로서 성장하였다. 1957년 대한유리공업기성회에서 인천 판유리 공장을 인수한 후 인천유리공업을 설립하였고, 이어서 한국유리공업으로 상호를 바꾸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이 되는 인천 판유리 공장은 1950년대 초기 한반도 유리 산업을 태동시킨 유일의 판유리 공장이었다. 1997년 6월 공장이 군산으로 이전되면서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그림 읽기

박영선-인천판유리-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영선 박영선-인천판유리 A는 B를 그렸다 1975년
박영선-인천판유리 안동문화원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박영선-인천판유리 인천판유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인천판유리 한국유리 A는 B를 인수하였다 1957년
인천판유리 충주비료공장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인천판유리 문경시멘트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박영선이 박영선-인천판유리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안동문화원이 박영선-인천판유리를 대여하였다.
1957년 한국유리인천판유리를 인수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566477 128.734167 박영선-인천판유리이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 대여되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U.N.K.R.A,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1950년 12월 1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410(V)에 따라 한국의 부흥과 재건을 돕기 위해 설립되었던 기구. *"국제연합한국재건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5월 08일.
  2. KKKK8155,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3. KKKK8155,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1992, 43쪽.
  2.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