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윤중식-8.15해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97번째 줄: 97번째 줄: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138 광복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138 광복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주석'''==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기념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기념일]]

2017년 5월 10일 (수) 17:02 판


8.15해방
윤중식-팔일오해방-1967s.jpg
작가 윤중식
제작연도 1967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기념일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45년 8월 15일 우리 민족이 일제 강점으로부터 벗어나 빛을 되찾은 날의 모습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지하에서 독립운동을 펼치던 지식인들의 복잡한 감정과 지상에서 환호하는 농민들의 감정을 묘사하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1945년 8월 15일의 광복은 그 한 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민족의 독립 투사들을 비롯한 수많은 국민들이 지속적으로 투쟁해온 결과이다. 그림에서도 묘사되었듯이 남녀노소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지상 혹은 지하에서 활발하게 독립운동을 진행하였던 것이다. 또 하나의 소재로서 작품 내에 여기저기 등장하는 태극기는 그 자체로 독립운동의 상징이자 독립에 대한 염원이었다. 3.1운동 당시에는 많은 독립 투사들이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몰래 태극기를 숨겨 놓고 있다가 일제에 의해 수난을 당하기도 하였다.

작품 구도

그림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푸른 논밭에서 태극기를 휘날리며 춤을 추고 있는 농민들과 어두컴컴한 지하에서 차분하게 기쁨을 나누고 있는 지식인들의 대비이다. 흰 비둘기들은 분리되어 있는 두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날아다니고 있다.

시각적 안내

태극기태극기태극기광복절윤중식-팔일오해방-1967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 작품: 윤중식-8.15해방
  • 작가: 윤중식

문맥요소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윤중식 윤중식-8.15해방 A는 B를 그렸다 1967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윤중식-8.15해방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윤중식-8.15해방 광복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윤중식-8.15해방 독립운동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광복절 독립운동 A는 B와 관련이 있다
3.1운동 독립운동 A는 B에 포함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67년 윤중식이 윤중식-8.15해방을 제작하였다.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되었다.
1949년 광복절이 국경일로 제정 및 시행되었다.
1998년 12월 30일-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윤중식-8.15해방을 소장하고 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5557 127.0547403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윤중식-8.15해방을 소장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광복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