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각순-살수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국회사무처]]
+
|소장처= 미상
 
|필드수=8
 
|필드수=8
 
}}
 
}}

2017년 5월 15일 (월) 22:59 판


살수대첩
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
작가 박각순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을지문덕이 이끄는 고구려 군대가 살수(薩水 : 지금의 청천강)에서 수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장면을 묘사한 민족기록화이다. 백마를 타고 고구려 갑옷을 입고 있는 오른편의 장수가 바로 을지문덕이다.

설명

작품 소재

당시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 있던 수나라는 요서(遼西) 방면으로 진출을 노리던 고구려와 직접적으로 충돌을 빚게 되었고, 이에 수나라고구려의 성장을 저지하기 위해 여러 번 침공을 감행하였다.
이 작품의 소재인 살수대첩은 612년의 두 번째 침공에서 벌어진 전투로, 수나라우중문(于仲文)·우문술(宇文述) 등을 지휘관으로 한 30만 5천명의 별동대를 편성해 평양성을 공략하려는 계책을 세웠다. 이를 간파한 을지문덕은 거짓 항복으로 수나라 군대의 퇴각을 유도하여 살수에서 배후를 공격하였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살수는 오늘날의 청천강으로, 평안북도 희천군 석립산 북서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평안북도의 남부를 남서로 흘러 황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살수(薩水)는 고구려에서 부르던 명칭이다.

작품 구도

백마를 타고 있는 을지문덕은 다비드의 <알프스 산맥을 넘는 나폴레옹> 그림을 연상시킨다. 실제로 백마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성하고 고귀한 존재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되었다. 이 그림에서 백마의 경우도 을지문덕의 지휘자로서의 위엄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한반도 역사에 두드러지는 족적을 남긴 지휘자들을 묘사한 다른 민족기록화들과 비슷한 구도이다. 가령 오승윤 화백의 동학교주 전봉준, 정영열 화백의 연개소문의 사수싸움, 신영상 화백의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등과 이 작품은 지휘자를 두드러지게 크게 묘사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모이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시각적 안내

을지문덕살수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 작품: 박각순-살수대첩
  • 작가: 박각순

문맥요소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각순 박각순-살수대첩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국회사무처 박각순-살수대첩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박각순-살수대첩 을지문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각순-살수대첩 살수대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각순-살수대첩 살수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을지문덕 살수대첩 A는 B를 지휘하였다 612년
을지문덕 우중문 A는 B와 대립하였다
을지문덕 우중술 A는 B와 대립하였다
살수대첩 살수 A는 B에서 발발하였다 612년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박각순이 박각순-살수대첩을 그렸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살수대첩을 대여하였다.
612년 살수대첩살수에서 발발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국회사무처가 박각순-살수대첩을 대여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1.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2.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3.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4-95쪽.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