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간정보) |
|||
97번째 줄: | 97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7년 || [[이종상]]이 {{PAGENAME}}를 | + | |1977년 || [[이종상]]이 {{PAGENAME}}를 그렸다. |
|- | |-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2017년 5월 10일 (수) 16:13 판
고구려 고분 벽화 | |
작가 | 이종상 |
---|---|
제작연도 | 1977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예술 |
분류 | 수묵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설명
작품 소재
어린아이의 도움을 받아 노인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실제 쌍영총 동벽에 그려져 있는 승려 등 9명의 공양행렬도로 추정된다. 여기에 표현된 인물은 맨 앞에서 병을 머리에 이고 가는 시종에서부터 승려, 귀족 여인 등 다양한데, 신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 승려와 귀족 여인은 화려한 색감의 의복에 커다란 형태이며, 시종들은 어린아이보다도 작은 크기이다. 이는 고대미술의 특징인 위계적 표현을 잘 보여준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이 되는 쌍영총 통로의 좌우에 세운 팔각 돌기둥에는 반룡(蟠龍)이 그려져 있으며 그 위에는 봉황 두 마리가 마주보는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앞방과 뒷방의 천장 고임부에는 도리, 들보, 활개와 함께 이를 장식한 구름무늬와 당초무늬가 그려져 있다. 그림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천장에는 커다란 연꽃이 그려져 있는데, 통상적으로 군자 또는 불교의 상징으로 여겨지나 민간에서는 다산(多産)과 행복을 의미했다고 한다.
그림 속 인물들을 살펴보면 왼편에서는 노인이 벽에 직접 그림을 그리고 있고 어린아이가 등불을 받쳐 들고 이를 돕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벽면이 평평한 것으로 보아 회칠을 하여 벽면을 고른 후 그리는 화장지법(化粧地法)을 차용한 듯하다. 아래에 쪼그리고 앉은 사내는 안료를 개고 있다. 채색 안료로는 녹청석·군청석·진사(辰砂)·자토(紫土)·황토(黃土), 금과 같은 광물질 가루를 투명성이 높고 점액성이 낮은 특수 아교에 개어 썼으며, 색채는 갈색조를 바탕으로 흑색·황색·자색·청색·녹색 등을 자주 써 무덤 칸 내부가 화려하면서도 부드럽고 차분한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한편 팔각기둥 너머로 벽화를 그리고 있는 다른 인물들이 눈에 띄는데, 쌍영총은 앞방과 널방으로 구성된 두방무덤(二室墳)으로 각 방의 사방에 다른 벽화가 그려져 있다. 그림에서는 알 수 없으나 쌍영총의 구조를 고려하였을 때 사신도를 그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쌍영총 실측도 [1]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지식 관계망
중심요소
- 작품: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작가: 이종상
문맥요소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종상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A는 B를 그렸다 | 1977년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공양행렬도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쌍영총 벽화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쌍영총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쌍영총 | 공양행렬도 | A는 B를 포함한다 | |
쌍영총 | 팔각기둥 | A는 B를 포함한다 | |
쌍영총 | 사신도 | A는 B를 포함한다 | |
사신도 | 쌍영총 벽화 | A는 B를 포함한다 | |
공양행렬도 | 쌍영총 벽화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7년 | 이종상이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를 그렸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를 대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5557 | 127.0547403 | 인천시립박물관이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을 대여하였다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을 소장하였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사진
영상
주석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쌍영총", 고고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쌍영총:안간천정벽화", 문화콘텐츠닷컴,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고분벽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