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행을묘정리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5번째 줄: 15번째 줄:
 
}}
 
}}
  
=='''정의'''==1
+
=='''정의'''==
 
1795년(정조 19년) [[정조]]가 [[혜경궁]]을 모시고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현륭원(顯隆園)]]을 참배하고, [[화성 행궁]]에 행차해 어머니 회갑 잔치를 치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1795년(정조 19년) [[정조]]가 [[혜경궁]]을 모시고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현륭원(顯隆園)]]을 참배하고, [[화성 행궁]]에 행차해 어머니 회갑 잔치를 치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기본 정보==
+
=='''내용'''==
*  간략한 내용
+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은 1795년(정조 19) 윤2월 9일부터 16일까지 [[화성|화성(華城]] 지금의 수원 성곽에서 열렸다. [[정조]]는 노량진 앞 한강에 배들을 잇대어 다리를 놓아 주교(舟橋)를 설치하고, 100리 길을 행행(行幸,임금이 대궐 밖으로 거둥함)하여 [[화성행궁|화성행궁(華城行宮)]]에서 8일 동안 잔치를 벌였다. [[진찬|진찬(進饌)]] 외에도 [[문무과방방|문무과방방(文武科放榜)]], [[행성조|행성조(行城操)]], [[어사|어사(御射)]], [[사미|사미(賜米)]], [[양로연|양로연(養老宴)]] 등 행사를 진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화성]] 건설의 명분을 높이고, [[화성]]을 통한 왕권 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사로 추정된다.  
**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은 1795년(정조 19) 윤2월 9일부터 16일까지 [[화성|화성(華城]]: 지금의 수원 성곽)에서 열림.
 
** [[정조]]는 노량진 앞 한강에 배들을 잇대어 다리를 놓은 주교(舟橋)를 설치하고 100리 길을 행행(行幸)하여 [[화성행궁|화성행궁(華城行宮)]]에서 8일 동안 잔치를 벌임.  
 
** [[진찬|진찬(進饌)]] 외에도 [[문무과방방|문무과방방(文武科放榜)]], [[행성조|행성조(行城操)]], [[어사|어사(御射)]], [[사미|사미(賜米)]], [[양로연|양로연(養老宴)]] 등 행사를 진행.  
 
** [[화성]] 건설의 명분을 높이고 [[화성]]을 통한 왕권 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사로 추정.  
 
  
* '''목록'''
+
===목록===
** 1책:  택일(擇日), 좌목(座目), 도식(圖式).
+
1책:  택일(擇日), 좌목(座目), 도식(圖式)<br/>
** 2책: 전교(傳敎), 연설(筵說), 악장(樂章), 치사(致詞), 어제(御製), 어사(御射), 전령(傳令), 군령(軍令).
+
2책: 전교(傳敎), 연설(筵說), 악장(樂章), 치사(致詞), 어제(御製), 어사(御射), 전령(傳令), 군령(軍令)<br/>
** 3책: 의주(儀註, 附操式), 절목(節目), 계사(啓辭).
+
3책: 의주(儀註, 附操式), 절목(節目), 계사(啓辭)<br/>
** 4책: 계목(啓目), 장계(狀啓), 이문(移文), 내관(來關), 수본(手本), 감결(甘結).
+
4책: 계목(啓目), 장계(狀啓), 이문(移文), 내관(來關), 수본(手本), 감결(甘結)<br/>
** 5책: 찬품(饌品), 채화(綵花), 기용(器用), 배설(排設), 의장(儀仗), 반전(盤纏), 장표(掌標), 가교(駕轎), 주교(舟橋), 사복정례(司僕定例).
+
5책: 찬품(饌品), 채화(綵花), 기용(器用), 배설(排設), 의장(儀仗), 반전(盤纏), 장표(掌標), 가교(駕轎), 주교(舟橋), 사복정례(司僕定例)<br/>
** 6책: 내외빈(內外賓), 참연로인(參宴老人), 배종(陪從), 유도(留都, 附守宮留陣留營留駐), 공령(工伶), 당마(塘馬, 附斥候伏兵), 방목(榜目), 상전(賞典), 재용(財用).
+
6책: 내외빈(內外賓), 참연로인(參宴老人), 배종(陪從), 유도(留都, 附守宮留陣留營留駐), 공령(工伶), 당마(塘馬, 附斥候伏兵), 방목(榜目), 상전(賞典), 재용(財用)<br/>
** 7책: 탄진경하(誕辰慶賀).
+
7책: 탄진경하(誕辰慶賀)<br/>
** 8책: 영흥본궁제향(永興本宮躋享), 온궁기적(溫宮紀蹟).
+
8책: 영흥본궁제향(永興本宮躋享), 온궁기적(溫宮紀蹟)<br/>
  
* '''특징'''
+
===특징===
** 조선시대 의궤로는 처음으로 활자와 판화를 함께 갖춘 인쇄 체제로 제작.
+
조선시대 [[의궤]]로는 처음으로 활자와 판화를 함께 갖춘 인쇄 체제로 제작되었다.  
  
* '''해제'''
+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73967&pos=0&total_df=1&uci=GK14532_00&sWord=%EC%9B%90%ED%96%89%EC%9D%84%EB%AC%98%EC%A0%95%EB%A6%AC%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73967&pos=0&total_df=1&uci=GK14532_00&sWord=%EC%9B%90%ED%96%89%EC%9D%84%EB%AC%98%EC%A0%95%EB%A6%AC%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해제]<br/>
  
* '''판본'''
+
===판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4518), (奎 14519), (奎 14520), (奎 14521), (奎 14522), (奎 14524), (奎 14525), (奎 14526), (奎 14527), (奎 14528-1), (奎 14528-2), (奎 14529), (奎 14530), (奎 14531-1), (奎 14531-2), (奎 14533), (奎 14534).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4518), (奎 14519), (奎 14520), (奎 14521), (奎 14522), (奎 14524), (奎 14525), (奎 14526), (奎 14527), (奎 14528-1), (奎 14528-2), (奎 14529), (奎 14530), (奎 14531-1), (奎 14531-2), (奎 14533), (奎 14534)<br/>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97), (K2-2898).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97), (K2-2898)<br/>
** 일본 [[궁내청]]: (306-41).
+
일본 [[궁내청]]: (306-41).
  
==관련항목==
+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
 
===문헌 → 소장처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2017년 5월 10일 (수) 11:49 판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
주제 가례(嘉禮)/ 행행(行幸)
작성주체 정리소(整理所)
의례담당자 채제공(蔡濟恭)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96년(정조 20)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8책 634장(제1책 62장, 제2책 77장, 제3책 92장, 제4책 76장, 제5책 82장, 제6책 81장, 제7책 89장, 제8책 75장)
도설 49면(제1책) 반차도 63면(제1책)



정의

1795년(정조 19년) 정조혜경궁을 모시고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을 참배하고, 화성 행궁에 행차해 어머니 회갑 잔치를 치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은 1795년(정조 19) 윤2월 9일부터 16일까지 화성(華城 지금의 수원 성곽에서 열렸다. 정조는 노량진 앞 한강에 배들을 잇대어 다리를 놓아 주교(舟橋)를 설치하고, 100리 길을 행행(行幸,임금이 대궐 밖으로 거둥함)하여 화성행궁(華城行宮)에서 8일 동안 잔치를 벌였다. 진찬(進饌) 외에도 문무과방방(文武科放榜), 행성조(行城操), 어사(御射), 사미(賜米), 양로연(養老宴) 등 행사를 진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화성 건설의 명분을 높이고, 화성을 통한 왕권 강화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행사로 추정된다.

목록

1책: 택일(擇日), 좌목(座目), 도식(圖式)
2책: 전교(傳敎), 연설(筵說), 악장(樂章), 치사(致詞), 어제(御製), 어사(御射), 전령(傳令), 군령(軍令)
3책: 의주(儀註, 附操式), 절목(節目), 계사(啓辭)
4책: 계목(啓目), 장계(狀啓), 이문(移文), 내관(來關), 수본(手本), 감결(甘結)
5책: 찬품(饌品), 채화(綵花), 기용(器用), 배설(排設), 의장(儀仗), 반전(盤纏), 장표(掌標), 가교(駕轎), 주교(舟橋), 사복정례(司僕定例)
6책: 내외빈(內外賓), 참연로인(參宴老人), 배종(陪從), 유도(留都, 附守宮留陣留營留駐), 공령(工伶), 당마(塘馬, 附斥候伏兵), 방목(榜目), 상전(賞典), 재용(財用)
7책: 탄진경하(誕辰慶賀)
8책: 영흥본궁제향(永興本宮躋享), 온궁기적(溫宮紀蹟)

특징

조선시대 의궤로는 처음으로 활자와 판화를 함께 갖춘 인쇄 체제로 제작되었다.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해제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4518), (奎 14519), (奎 14520), (奎 14521), (奎 14522), (奎 14524), (奎 14525), (奎 14526), (奎 14527), (奎 14528-1), (奎 14528-2), (奎 14529), (奎 14530), (奎 14531-1), (奎 14531-2), (奎 14533), (奎 1453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97), (K2-2898)
일본 궁내청: (306-41).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항목B 관계
원행을묘정리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원행을묘정리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원행을묘정리의궤 궁내청 A는 B에 소장한다

문헌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원행을묘정리의궤 연향례복 A는 B를 보여준다

문헌 → 의례

항목A 항목B 관계
원행을묘정리의궤 회갑연례 A는 B를 기록한다

의례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회갑연례 정리소 A는 B에서 주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