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손수광-청산리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62번째 줄: 62번째 줄: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5년 || [[손수광]]이 {{PAGENAME}}제작하였다.
+
|1975년 || [[손수광]]이 {{PAGENAME}}제작하였다.
 
|}
 
|}
  

2017년 5월 8일 (월) 13:11 판


청산리싸움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
작가 손수광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 홍범도(洪範圖) 등이 지휘하는 독립군 부대가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군을 물리친 청산리대첩 장면을 그린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청산리대첩은 1920년 10월 김좌진(金佐鎭)·나중소(羅仲昭)·이범석(李範奭)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과 홍범도(洪範圖)가 이끄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등을 주력으로 한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이다. 이는 독립군이 일본군의 간도 출병 후 그들과 대결한 전투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였다.[1]

작품 배경

독립군들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청산리 백운평(白雲坪) 바로 위쪽의 고개마루와 계곡 양쪽에 매복하였는데, 이곳은 동서로 약 25㎞에 달하는 긴 계곡으로서, 좌우 인마(人馬)의 통행이 곤란할 정도로 울창한 삼림지대였다.[2] 독립군은 이러한 지형을 이용하여 일본군에 맞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마침내 패퇴시킬 수 있었다.

시각적 안내

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계몽/항일 소재 작품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손수광 손수광-청산리싸움 A는 B를 그렸다 1975년
손수광-청산리싸움 청산리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손수광-청산리싸움 청산리싸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손수광-청산리싸움 김좌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손수광이 손수광-청산리싸움을 제작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그래프

참고문헌

  • "청산리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8일.

주석

  1. "청산리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8일.
  2. "청산리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