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순천 선암사 원통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5번째 줄: 15번째 줄:
 
|크기=
 
|크기=
 
|건립시대=조선시대
 
|건립시대=조선시대
|관련승려=[[의천]]
+
|관련승려=[[경준]], [[경잠]], [[문정]]
 
|관련탑비=
 
|관련탑비=
 
|필드수=16
 
|필드수=16

2017년 4월 25일 (화) 10:15 판


순천 선암사 원통전
(順天 仙岩寺 圓通殿)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원통전
영문명칭 Wontongjeon Hall of Seonamsa Temple, Suncheon
한자 順天 仙岩寺 圓通殿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문화재 지정번호 전남유형문화재 제169호
문화재 지정일 1990년 02월 24일
소유자 순천 선암사
관리자 순천 선암사
건립시대 조선시대
관련승려 경준, 경잠, 문정



정의

내용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봉안한 전각이며 보통 관음전(觀音殿)이라고도 한다. 선암사의 원통전은 1660년 경잠·경준·문정 3대사가 초창하여 1698년 약휴대사(若休大師)가 중창하였고, 그후 1824년에 해봉·눌암·익종 3대사가 중수했다. 또한 운악돈각(雲岳頓覺)선사의 유촉으로 1000여 원을 회사하여 1923년에 중수하였다.

선암사는 일주문, 대웅전을 잇는 남북축선상에 대웅전 좌우로 설선당과 심검당을 두어 중정을 형성하고 그 위에 여러 전각들을 지세에 맞게 배치하였는데, 원통전도 그중 하나에 속한다. 방향은 동남향으로 앞면 3칸, 옆면 3칸의 '丁'자형 건물로 정면에 기둥과 활주를 내어 처마선을 길게 돌출시켰다. -전국사찰통서

순조는 대복전 편액을 썼는데, 대복전은 원통전 안에 있다.

동영상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하동 쌍계사 승탑 하동 쌍계사 A는 B에 있다
하동 쌍계사 승탑 혜소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885년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혜소 A는 B를 위한 비이다 887년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