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관의 상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정의) |
Monica-jang (토론 | 기여)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복장정보 | {{복장정보 | ||
|이미지= 착용컷-남자-앞.png | |이미지= 착용컷-남자-앞.png | ||
− | |복식명칭= | + | |복식명칭= 흑단령 |
|복식구분= 예복 | |복식구분= 예복 |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 | * [[사모 | 사모(紗帽)]], [[단령 | 단령(團領)]], [[품대 | 품대(品帶)]], [[흑화 | 흑화(黑靴)]] | + | * [[사모 | 사모(紗帽)]], [[단령 | 단령(團領)]], [[흉배 | 흉배(胷褙)]], [[품대 | 품대(品帶)]], [[흑화 | 흑화(黑靴)]]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2017년 4월 23일 (일) 16:24 판
() |
|
[[file:|360px|thumb|center|]] | |
착용신분 | 문무백관 |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 관리의 평상시 집무복으로 조회, 조계(朝啓)[1], 동궁에게 조참 하는날, 칙서를 받을 때, 회례연, 사신을 영접할 때, 관리들이 임금께 나아갈 때, 중국에 입조 할 때 등 특정한 국가 의례에 착용.[2]
- 조선초기에는 단령의 색상에 제한이 없었으나 세종대에 흑단령을 예복인 시복, 홍단령을 집무복인 상복으로 구분하여 부르게 됨.[3]
- 광해군대에 의례복인 흑단령을 상복이라고 하게 됨에 따라 집무복인 홍단령을 시복이라고 부르게 됨.[4]
복식구성
관련항목
참고문헌
주석
- ↑ <역사> 중신(重臣)과 시종신이 편전(便殿)에서 벼슬아치의 죄를 논하고 단죄하기를 임금에게 아뢰던 일.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2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