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필드수= 12
 
|필드수= 12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이덕휘_다산이차를요청한편지.jpg|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ref>김태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563335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ref><ref>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ref>
 
</gallery>
 
<br/><br/><br/><br/><br/><br/><br/><br/><br/><br/>
 
|-
 
|[[이시헌]]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의==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로, 자는 중부(仲孚), 호는 초의(草衣), 당호는 일지암(一枝庵), 법명은 의순(意恂)이다. 보통 초의선사라고 불린다.<br/>
+
[[백운동 별서정원]]의 4대 주인으로, 자는 윤경(潤卿)이다.<br/>
전라남도 무안 출신으로, [[대흥사|대흥사(大興寺)]] 제13대 종사이며 [[다도(茶道)]]의 정립자이다. 그래서 초의를 다성(茶聖)이라 부른다.
 
  
 
==내용==
 
==내용==
1786년 전라남도 무안에서 출생하였으며 5세 때에 강변에서 놀다가 급류에 떨어져 죽을 고비에 다다랐을 때 부근을 지나는 승려가 건져주어 살게 되었다. 그 승려가 출가할 것을 권하여 16세에 [[나주 운흥사|나주 운흥사(雲興寺)]]에서 [[민성|민성(敏聖)]]의 제자가 되었으며 승려가 되었다.<br/>
+
[[이덕휘]]에 관해서는 특별히 남아 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정을 알기 어렵다.<br/>  
22세 때부터 전국의 선지식(善知識)들을 찾아가 삼장(三藏)을 배우고 유학·도교 등 여러 교학에 통달하였으며, 범서(梵書)에도 능통하였다.<br/>
+
[[백운동 별서정원]]의 4대 주인으로,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기에 아우 [[이석휘]]의 아들 [[이시헌]]을 입계해서 대를 이었다.<br/>
그는 [[정약용|정약용(丁若鏞)]], [[홍현주|홍현주(洪顯周)]], [[김정희|김정희(金正喜)]], [[신위|신위(申緯)]]등과 교유하였는데, 초의는 [[정약용]]에게서 유학(儒學)과 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배웠고, 스승의 명에따라 [[백운동도|「백운동도」]]와 [[다산도|「다산도」]]를 그렸는데, [[정약용]]은 초의의 그림과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하여 [[백운첩|『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br/>
+
[[이덕휘]]는 그의 부친 [[이현박]][[해남 윤씨]]와 결혼하였기에 [[정약용]]의 외가와는 멀지 않은 친척이었다. [[정약용]]은 제자 [[의선]],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았고, 이후 [[정약용]]의 후원자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br/>
초의는 수행생활과 함께 차(茶)에 대한 조예가 깊었는데, 차서(茶書) [[동다송|『동다송(東茶頌)』]]을 저술하여 차를 재배, 법제하는 방법 등 다도의 이론적인 면이나 실제적인 면에서 크게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초의는 [[다도]]에 대하여
+
그는 당시 10세 소년이었던 아들 [[이시헌]]을 [[다산초당]]으로 보내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다.<br/>
"따는 데 그 묘(妙)를 다하고 만드는 데 그 정(精)을 다하고 물은 진수(眞水)를 얻고 끓임에 있어서 중정(中正)을 얻으면 체(體)와 신(神)이 서로 어울려 건실함과 신령함이 어우러진다. 이에 이르면 [[다도]]는 다하였다고 할 것이다."
+
현재 [[정약용]][[이덕휘]]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 남아 있다.
고 하였다. 즉 그에 의하면 정성스럽게 잘 만들어진 차로 좋은 물을 얻어 알맞게 잘 우러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4273&cid=42752&categoryId=42754 다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차생활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br/>
 
또한 그는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다신전|『다신전(茶神傳)』]]을 저술하였는데, [[다신전]]은 찻잎따기, 차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br/>
 
평범한 일생을 통하여 선(禪)과 교(敎)를 겸하여 수도하고 중생을 제도하였으며, 명성이 널리 알려지자 [[대흥사]]의 동쪽 계곡으로 들어가 [[일지암(一枝庵)]]을 짓고 40여 년 동안 홀로 지관(止觀)을 닦고, [[다선삼매|다선삼매(茶禪三昧)]]에 들기도 하였다.<br/>
 
1866년 나이 80세, 법랍 65세로 입적하였다.
 
  
 
==시각자료==
 
==시각자료==
 
===사진===
 
===사진===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의순_선사의영정.jpg|의순의 영정<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04 의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인물_이덕휘_다산이차를요청한편지.jpg|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ref>김태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563335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ref><ref>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ref>
 
</gallery>
 
</gallery>
 
<br/><br/><br/><br/><br/><br/><br/><br/><br/><br/>
 
<br/><br/><br/><br/><br/><br/><br/><br/><br/><br/>
===영상===
 
*'''[MBC] 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게시일: 2016년 5월)'''
 
<html>
 
<iframe src="https://player.vimeo.com/video/168606390?byline=0&portrait=0" width="640" height="480" frameborder="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iframe>
 
<p><a href="https://vimeo.com/168606390">mbc프라임 불탄일 특집_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a> from <a href="https://vimeo.com/ibsop">Youngin Koo</a> on <a href="https://vimeo.com">Vimeo</a>.</p>
 
</html>
 
  
 
==관련항목==
 
==관련항목==
58번째 줄: 40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정약용]]||[[의순]]||A는 B의 스승이다 ||  
+
| [[이덕휘]] ||[[정약용]] || A는 B의 친척이다||  
 
|-  
 
|-  
| [[의순]] ||  [[백운동도]] || A는 B를 그렸다 || 1812년
+
|[[이덕휘]] ||  해남 윤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의순]] ||  [[다산도]] || A는 B를 그렸다 || 1812년
+
|  [[이시헌]] || [[이덕휘]] || A는 B의 아들이다 ||
 +
|-
 +
| [[이덕휘]] ||  [[백운동 별서정원]] || A는 B의 주인이다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의순]] || [[다신전]] || A는 B를 저술하였다 ||1828년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의순]] |[[동다송]]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34.7419353 || 126.6975985|| [[백운동 별서정원]]은 {{PAGENAME}}과 관련이 있다
 +
|}
 +
 
 +
==참고문헌==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
 
 +
==주석==
 +
<references/>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인물]][[분류:조선]]
 +
 
 +
 
 +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의순]] || [[다선삼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정약용]] || [[이시헌]] || A는 B의 스승이다 ||
 +
|-
 +
| [[이시헌]] ||  [[이덕휘]] || A는 B의 아들이다 ||  
 
|-
 
|-
|[[의순]]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이시헌]] ||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2017년 4월 23일 (일) 14:58 판

틀:인물정보2

정의

백운동 별서정원의 4대 주인으로, 자는 윤경(潤卿)이다.

내용

이덕휘에 관해서는 특별히 남아 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정을 알기 어렵다.
백운동 별서정원의 4대 주인으로,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기에 아우 이석휘의 아들 이시헌을 입계해서 대를 이었다.
이덕휘는 그의 부친 이현박해남 윤씨와 결혼하였기에 정약용의 외가와는 멀지 않은 친척이었다. 정약용은 제자 의선, 윤동과 함께 1806년에 이어 1812년 월출산 등정을 시도하고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백운동 별서정원을 찾게 되었는데, 그 인연으로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았고, 이후 정약용의 후원자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당시 10세 소년이었던 아들 이시헌다산초당으로 보내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다.
현재 정약용이덕휘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 남아 있다.

시각자료

사진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덕휘 정약용 A는 B의 친척이다
이덕휘 해남 윤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시헌 이덕휘 A는 B의 아들이다
이덕휘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의 주인이다

시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19353 126.6975985 백운동 별서정원은 이시헌과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

  1. 김태식,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
  2. 기사에는 이덕휘에게 보낸 편지라고 잘못 나와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약용 이시헌 A는 B의 스승이다
이시헌 이덕휘 A는 B의 아들이다
이시헌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12년 이시헌이 백운동도를 그렸다
1812년 이시헌이 다산도를 그렸다
1828년 이시헌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이시헌과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의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다도",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초의선사",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