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4번째 줄: | 4번째 줄: | ||
|대표명 = 정약용 | |대표명 = 정약용 | ||
|한자명 = 丁若鏞 | |한자명 = 丁若鏞 | ||
− | |이칭 = 자 귀농(歸農), 미용(美庸)/ 호 사암(俟菴), 탁옹(籜翁), 태수(苔叟),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다산(茶山)/ 당호 일지암(一枝庵)/ 시호 문도(文度) | + | |이칭 = 자 귀농(歸農), 미용(美庸)<br/>호 사암(俟菴), 탁옹(籜翁), 태수(苔叟),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다산(茶山)<br/>당호 일지암(一枝庵)<br/>시호 문도(文度) |
|본관 = 나주(羅州) | |본관 = 나주(羅州) | ||
|생몰년 = 1762년~1836년 | |생몰년 = 1762년~1836년 |
2017년 4월 23일 (일) 12:11 판
정의
내용
시각자료
사진
영상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
의순 | 백운동도 | A는 B를 그렸다 | |
의순 | 다산도 | A는 B를 그렸다 | |
의순 | 다신전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828년 |
의순 | 동다송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의순 | 다선삼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의순 | 설록다원강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28년 | 정약용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7406953 | 126.7047464 | 설록다원강진은 정약용과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의순",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다도",
『차생활문화대전』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초의선사",
『차생활문화대전』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
정약용은 초의에게 유학(儒學)과 시문(詩文)뿐 아니라, 제다법을 가르쳤고, 「백운동도」와 「다산도」를 그리게 한 뒤 자신의 친필 시를 합첩한 『백운첩(白雲帖)』을 남겼다.[1]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
정약용 | 백운첩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