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명량대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작품 소재)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명량대첩은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명량(울돌목: 전라남도 진도와 육지 사이의 해협)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1597년 7월 원균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왜수군에게 대패하여, 보유한 전선(戰船)은 배설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을 더한 13척의 전선으로 130여척의 왜수군을 맞이하여 | + | 명량대첩은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명량(울돌목: 전라남도 진도와 육지 사이의 해협)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1597년 7월 원균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왜수군에게 대패하여, 보유한 전선(戰船)은 배설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을 더한 13척의 전선으로 130여척의 왜수군을 맞이하여 좁은 수로의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적을 격파하여, 왜군의 서해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해상권을 장악하고 정유재란의 대세를 조선군에게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게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8250 명량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ref> |
− | </ref> | ||
===작품 구도=== | ===작품 구도=== |
2017년 4월 21일 (금) 18:16 판
김기창-명량대첩 | |
작가 | 김기창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군사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개요
수군 통제사 이순신이 불과 12척으로 명량에서 왜군 130여척을 맞아 싸워 그중 31척을 격파하는 장면
설명
작품 소재
명량대첩은 정유재란 때인 1597년(선조 30) 9월 16일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명량(울돌목: 전라남도 진도와 육지 사이의 해협)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이다. 1597년 7월 원균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량에서 왜수군에게 대패하여, 보유한 전선(戰船)은 배설이 탈출시킨 12척에 불과하였다. 여기에 일반 백성들이 나중에 가져온 한 척을 더한 13척의 전선으로 130여척의 왜수군을 맞이하여 좁은 수로의 조건을 최대한으로 이용해 적을 격파하여, 왜군의 서해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해상권을 장악하고 정유재란의 대세를 조선군에게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게 하였다.[1]
작품 구도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김기창-명량대첩 | ~에 의해 그려지다 | 김기창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김기창-명량대첩 | 제작연도 | 1975년 |
독립기념관 | 소장처 (임대) | 1991년 |
독립기념관 | 소장처 | 2016년 |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민족기록화, 전승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