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 | 예복 속에 받쳐 입던 옷이다. | |
+ | |||
+ | =='''내용'''== |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19번째 줄: | 21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착용신분=== | ===착용신분=== | ||
− | +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 하였다. | |
===착용상황=== | ===착용상황=== | ||
− | + |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 하였다. | |
===형태=== | ===형태=== | ||
− | * [[상의]]와 [[하상]]이 완전히 하나로 통합된 옷으로, 요즘의 두루마기처럼 허리에 이음선 없이 위에서 아래까지 하나인 | + | *[[상의]]와 [[하상]]이 완전히 하나로 통합된 옷으로, 요즘의 두루마기처럼 허리에 이음선 없이 위에서 아래까지 하나인 옷이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6쪽.</ref> |
− | * [[대례복]]: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길 가장자리에 청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33쪽.</ref> | + | *[[대례복]]: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길 가장자리에 청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33쪽.</ref> |
− | + | *[[황제]] : 12개 | |
− | + | *[[황태자]], [[왕]] : 11개 | |
− | + | *[[왕세자]] : 9개 | |
− | + | *[[왕세손]] : 7개 | |
− | * [[조복]]: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도련에 붉은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 넣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68쪽.</ref> | + | *[[조복]]: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도련에 붉은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 넣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2, 68쪽.</ref> |
− | + | *[[황제]] : 13개 | |
− | + | *[[황태자]], [[왕]] : 11개 | |
− | + | *[[왕세자]] : 9개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중단(왕실남성) 01.jpg|전 고종 중단.<ref>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중단(왕실남성) 01.jpg|전 고종 중단.<ref>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
47번째 줄: | 48번째 줄: | ||
===기타=== | ===기타=== | ||
− | + | '''어원''' | |
− | + | 겉옷인 [[의|의(衣)]]와 속옷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의라고 한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6쪽.</ref>위진남북조시대 무렵 중의에서 [[중단|중단(中單)]]으로 불리기 시작 하였다. | |
− | + | '''전래''' | |
− | + |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7쪽.</ref> | |
− | |||
− | ==관련항목== |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항목A!!항목B!!관계 | !항목A!!항목B!!관계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 | |}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
81번째 줄: | 81번째 줄: |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5월 22일 (월) 23:32 판
중단(中單)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중단(中單) |
---|---|
이칭별칭 | 중의(中衣) |
착용신분 | 왕실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예복 속에 받쳐 입던 옷이다.
내용
복식구성
갑사로 만든 중단.[1]
착용신분
착용상황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 하였다.
형태
- 상의와 하상이 완전히 하나로 통합된 옷으로, 요즘의 두루마기처럼 허리에 이음선 없이 위에서 아래까지 하나인 옷이다.[2]
- 대례복: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길 가장자리에 청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넣음.[3]
- 황제 : 12개
- 황태자, 왕 : 11개
- 왕세자 : 9개
- 왕세손 : 7개
- 조복: 백색 중단의 깃·소매끝·도련에 붉은색 선(縇)을 두르고 깃 위에 '亞'자 형의 불문(黻紋)을 그려 넣음.[4]
- 황제 : 13개
- 황태자, 왕 : 11개
- 왕세자 : 9개
기타
어원 겉옷인 의(衣)와 속옷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의라고 한다.[7]위진남북조시대 무렵 중의에서 중단(中單)으로 불리기 시작 하였다. 전래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전래되었으며, 조선말까지 형태가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8]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황제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황태자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왕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왕세자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왕세손 | 중단(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중단(왕실남성) | 대례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중단(왕실남성) | 조복 | A는 B의 일습이다 |
참고문헌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