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락-쌍용시멘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개요'''== | =='''개요'''== | ||
− | + | [[쌍용양회공업]]의 대단위 공장을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이다. 오른쪽 아래에 그려져 있는 포크레인 등의 공사 설비와 비교해 보면 공장의 거대한 크기를 쉬이 가늠할 수 있다.<br/> | |
그림은 공장 전체를 항공 뷰(view)로 조망하는 형태로, 평면적인 듯하면서도 섬세한 세부 묘사가 눈에 띈다. 전체적인 색조를 녹색으로 잡고 위쪽 공간 전체를 산에 할애하였다. | 그림은 공장 전체를 항공 뷰(view)로 조망하는 형태로, 평면적인 듯하면서도 섬세한 세부 묘사가 눈에 띈다. 전체적인 색조를 녹색으로 잡고 위쪽 공간 전체를 산에 할애하였다. |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쌍용양회공업]]은 1962년 [[김성곤]]에 의해 세워진 시멘트 전문 생산업체다. 1965년 국내 최초로 레미콘 사업에 진출했으며, 1975년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 ||
+ | ===작품 배경=== | ||
+ | [[쌍용양회공업]]은 창립 당시인 1960년대에 세 개의 공장을 지었다. 1964년 4월에는 [[쌍용양회 영월공장|영월공장]]이, 1968년 10월에는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이 준공한데 이어 1969년 2월 [[쌍용양회 여수분공장|여수분공장]]이 준공되었다. 이 중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공장은 대단위 임해(臨海) 공장이었던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이다. [[쌍용양회 동해공장|동해공장]] 건설 당시 연간 170만에서 190만 톤 정도로 동양 최대의 시멘트 생산량을 자랑하였으며 현재는 수 차례의 증설을 거쳐 1,150만 톤 가량의 생산량을 가지고 있다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쌍용양회 동해공장 전경" heights=300px> | ||
+ | 파일:민족기록화 공간 쌍용양회동해공장 실사.jpg|이미지 출처<ref>시동쓰, "[http://blog.naver.com/sidong258/80039415089 쌍용양회 동해공장]", 『네이버 블로그 - sidong258의 블로그』, 작성일: 2007년 06월 22일.</ref> | ||
+ | </gallery> | ||
=='''시각적 안내'''== | =='''시각적 안내'''== | ||
− | [ | +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 |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 | <imagemap>Image:김창락-쌍용시멘트-1973s.jpg|center|900px| | ||
+ | </imagemap>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광공업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광공업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 파일:문학진-강원탄광-1975s.jpg |[[문학진-강원탄광]] | ||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 파일: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최덕휴-장성광업소]] | ||
46번째 줄: | 53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관련항목=== | + | ==='''관련항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김창락]]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
+ | |- | ||
+ | |[[안동문화원]]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 | ||
|- | |- | ||
− | |{{PAGENAME}} | + | |{{PAGENAME}}|| [[쌍용양회공업]]||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 ||
− | |{{PAGENAME}} | + | |{{PAGENAME}}|| [[쌍용양회 동해공장]]||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 ||
− | | | + | |[[김성곤]]|| [[쌍용양회공업]]|| A는 B를 설립하였다 |
|- | |- | ||
+ | |[[쌍용양회공업]]|| [[쌍용양회 동해공장]]||A는 B를 건설하였다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1973년 || [[김창락]]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 |- | ||
− | |{{PAGENAME}} | +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안동문화원]]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 ||
− | | | + | |1962년 || [[김성곤]]이 [[쌍용양회공업]]을 설립하였다. |
+ | |- | ||
+ | |1968년 || [[쌍용양회공업]]이 [[쌍용양회 동해공장]]을 건설하였다.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36.566477 || 128.734167||{{PAGENAME}}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다. | ||
|- | |- | ||
− | |||
|} | |} | ||
=='''그래프'''== | =='''그래프'''==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0065&cid=43167&categoryId=43167 쌍용양회공업]", 기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08464&cid=51950&categoryId=55282 쌍용양회 여수공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 |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10310020920201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10-31&officeId=00020&pageNo=2&printNo=14479&publishType=00020 雙龍시멘트 東海 공장 完工]", 『동아일보』, 1968년 10월 31일. | ||
=='''주석'''== | =='''주석'''== |
2017년 4월 19일 (수) 10:25 판
쌍용시멘트 | |
작가 | 김창락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광공업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안동문화원 |
개요
쌍용양회공업의 대단위 공장을 그리고 있는 민족기록화이다. 오른쪽 아래에 그려져 있는 포크레인 등의 공사 설비와 비교해 보면 공장의 거대한 크기를 쉬이 가늠할 수 있다.
그림은 공장 전체를 항공 뷰(view)로 조망하는 형태로, 평면적인 듯하면서도 섬세한 세부 묘사가 눈에 띈다. 전체적인 색조를 녹색으로 잡고 위쪽 공간 전체를 산에 할애하였다.
설명
작품 소재
쌍용양회공업은 1962년 김성곤에 의해 세워진 시멘트 전문 생산업체다. 1965년 국내 최초로 레미콘 사업에 진출했으며, 1975년 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작품 배경
쌍용양회공업은 창립 당시인 1960년대에 세 개의 공장을 지었다. 1964년 4월에는 영월공장이, 1968년 10월에는 동해공장이 준공한데 이어 1969년 2월 여수분공장이 준공되었다. 이 중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공장은 대단위 임해(臨海) 공장이었던 동해공장이다. 동해공장 건설 당시 연간 170만에서 190만 톤 정도로 동양 최대의 시멘트 생산량을 자랑하였으며 현재는 수 차례의 증설을 거쳐 1,150만 톤 가량의 생산량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 출처[1]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창락 | 김창락-쌍용시멘트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안동문화원 | 김창락-쌍용시멘트 | A는 B를 대여하였다 | |
김창락-쌍용시멘트 | 쌍용양회공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김창락-쌍용시멘트 | 쌍용양회 동해공장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김성곤 | 쌍용양회공업 | A는 B를 설립하였다 | |
쌍용양회공업 | 쌍용양회 동해공장 | A는 B를 건설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김창락이 김창락-쌍용시멘트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월 9일-1992년 1월 8일 | 안동문화원이 김창락-쌍용시멘트를 대여하였다. |
1962년 | 김성곤이 쌍용양회공업을 설립하였다. |
1968년 | 쌍용양회공업이 쌍용양회 동해공장을 건설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566477 | 128.734167 | 김창락-쌍용시멘트가 안동문화원에 대여되었다. |
그래프
참고문헌
- "쌍용양회공업", 기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 - "쌍용양회 여수공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9일. - "雙龍시멘트 東海 공장 完工", 『동아일보』, 1968년 10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