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두-동명목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작품 소재) |
(→공간정보) |
||
82번째 줄: | 82번째 줄: | ||
|- | |- | ||
|37.575603 || 126.975119||{{PAGENAME}}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37.575603 || 126.975119||{{PAGENAME}}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
− | |||
− | |||
|} | |} | ||
2017년 4월 16일 (일) 21:06 판
동명목재 | |
작가 | 하인두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경제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미상 |
개요
1970년대 당시 생산능력 세계5위의 국제적 규모의 합판생산업체로 성장한 동명목재.
설명
작품 소재
동명목재는 부산에 뿌리를 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합판공장으로, 1970년대에는 7년간 수출 1위 자리를 고수했을 정도로 견실한 기업이었다. 부산에 기반을 둔 덕분에 한국전쟁의 참화를 피해갈 수 있었던 동명목재는 전후복구 사업과 더불어 대단한 호황을 누렸다. 1961년에 등장한 박정희 정권이 산림녹화정책을 추진하면서 '벌목금지' 조치를 내렸으나, 동명목재는 1959년부터 인도네시아 산 원목(나왕)을 수입하기로 사업 방침을 바꾼 것이 시대 상황과 맞아 떨어졌다.[1]
이후 동명산업(주), 동명중공업(주), 동명식품(주) 등을 설립하고 동명목재그룹으로 성장하였으나, 1980년 제5공화국 신군부에 의해 그룹이 와해되었다.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는 22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등이 동명목재의 창업자인 고 강석진씨와 그의 아들 강정남(69·현 동명문화학원 이사장)씨 등 이사진을 반사회적 기업인으로 지목해 명예를 훼손했고, 범죄 혐의가 없는데도 강제 수사를 하면서 고문 등의 가혹행위를 저질렀다”고 밝히고, 피해자와 그 가족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에 힘쓸 것을 국가에 권고하였다.[2]
작품 배경
부산 용당동에 있었던 동명목재 공장 건물 뒷편의 바다물 속에 필리핀, 말레이지아,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수입한 원목(나왕)을 바다에 그대로 띄어 놓은 장면이 인상적이다. 배로 수입된 직경 1m, 길이 15m~20m의 나왕을 바다에 띄어 놓고 원목관리계원들이 그 위를 돌아다니며 나무의 굵기 등의 치수를 재고 흠집 여부를 판별하여 등급과 규격 등을 매겼다고 한다.[3]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하인두 | 하인두-동명목재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하인두-동명목재 | 동명목재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하인두-동명목재 | 합판산업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동명목재 | 동명목재 노동자투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980년 |
동명목재 |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980년 |
신군부 |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 | A는 B을 일으켰다 | 1980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하인두가 하인두-동명목재를 제작하였다. |
1979년 | 총무처가 하인두-동명목재를 대여하였다. |
1980년 |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헌납사건을 일으켰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5603 | 126.975119 | 하인두-동명목재이 총무처에 대여되었다. |
그래프
참고문헌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년.
주석
- ↑ 정순형, "정순형의 부산기업 스토리 - 동명목재", 『부산일보』, 2014년 07월 19일.
- ↑ 권오성, "진실위, 신군부가 동명목재 재산 강탈", 『한계레신문』, 2008년 10월 22일.
- ↑ 류지아, "성창목재 합판을 만든 사람들",
『부산문화역사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