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기타임명미, 「韓·中·日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51, N.2. 한국복식학회, 2001, 5~25쪽.)
37번째 줄: 37번째 줄:
 
</gallery>  
 
</gallery>  
  
===기타<ref>임명미, 「韓·中·日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51, N.2. 한국복식학회, 2001, 5~25쪽.</ref>===
+
===기타===
* 명대 문무백관용 수판의 명칭이 [[홀]]로 정해져, 홍무 26년제에 1~5품은 상아(象牙), 6품 이하가 나무(木).
+
* 신하는 군주 앞에서 물건이나 사람을 가리킬 일이 있을 때 손으로 직접 가리키면 예의가 없다고 여겨 홀을 들어서 가리켜야 함.<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80쪽./ref>
* 조선은 명의 제도에 기준해 1~4품은 상아(象牙), 5~9품은 나무(木).
+
* 명대 문무백관용 수판의 명칭이 [[홀]]로 정해져, 홍무 26년제에 1~5품은 상아(象牙), 6품 이하가 나무(木)이며, 조선은 명의 제도에 기준해 1~4품은 상아(象牙), 5~9품은 나무(木).<ref>임명미, 「韓·中·日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51, N.2. 한국복식학회, 2001, 5~25쪽.</ref>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4월 16일 (일) 00:31 판


홀(笏)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홀(笏)
착용신분 궁중
착용성별 남성



정의

  • 손에 드는 판의 의미로, 군주 앞에 나아가 어떤 일을 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물.[1]

복식구성

기본정보

착용신분


착용상황

형태[2]

  • 모양은 직사각형으로 반듯한 형태.

기타

  • 신하는 군주 앞에서 물건이나 사람을 가리킬 일이 있을 때 손으로 직접 가리키면 예의가 없다고 여겨 홀을 들어서 가리켜야 함.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관련항목

참고문헌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임명미, 「韓·中·日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51, N.2. 한국복식학회, 2001.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79쪽.
  2.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1~132쪽.
  3.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5. http://blog.naver.com/sevenck555/3008194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