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82번째 줄: | 82번째 줄: | ||
===기타=== | ===기타=== | ||
* 유래: 양관의 형태는 한나라의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91 진현관(進賢冠)]에서 유래. | * 유래: 양관의 형태는 한나라의 [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91 진현관(進賢冠)]에서 유래. | ||
+ | |||
+ | ==시각자료== | ||
+ | *"양관을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https://tv.naver.com/v/331114 남성용/양관]",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TV』<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serviceapi.rmcnmv.naver.com/flash/outKeyPlayer.nhn?vid=2FAF00ADBFB0BEB789B0F85F5DA177373136&outKey=V12916bc6d702ff0a4f6d5911767690ba1c9c09f63529a37181c45911767690ba1c9c&controlBarMovable=true&jsCallable=true&isAutoPlay=false&skinName=tvcast_whit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2017년 4월 29일 (토) 22:33 판
양관(梁冠)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양관(梁冠) |
---|---|
이칭별칭 | 금관(金冠), 제관(祭冠) |
착용신분 | 왕실, 궁중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 양(梁, 관의 아래에서 위로 나 있는 세로줄)의 수를 달리한 관모.
복식 구성
심동신(沈東臣, 1824~미상) 양관[1]
기본 정보
착용신분
- 조복(朝服)을 착용하는 문무백관들이 착용하는 관.
착용상황
- 대사(大祀), 경축일(慶祝日), 원단(元旦), 동지(冬至), 조칙 반포, 진표(進表).
형태
- 관의 전면의 머리둘레 부분인 무(武)과 관의 중앙 전면으로부터 정수리에 이르는 검정색 몸판에 금색의 세로줄이 높여져 있고, 뒷면은 여러 가지 무늬를 투조로 장식하여 관의 뒤를 병풍처럼 감쌈.[2]
- 신분별 형태
- 고려 말 공민왕 19년(1370, 洪武 3년) 때에 중국에 관복을 청하여 명 태조로부터 신하의 관복을 사여 받아, 1품은 5량관, 2품은 4량관, 3품은 3량관, 4·5품은 2량관, 6·7품은 1량관.
- 조선조에 들어와 태종은 백관복 제정에 심혈을 기울였고, 세종 8년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 성종 때에 백관의 조복·제복·공복·상복제도가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기록되면서 제도화.
<표> 법전에 실린 양관 제도
책명/품계 | 1품 | 2품 | 3품 | 4품 | 5품 | 6품 | 7품 | 8품 | 9품 |
---|---|---|---|---|---|---|---|---|---|
『국조오례의서례』, 『경국대전』 | 5량 | 4량 | 3량 | 2량 | 2량 | 2량 | 1량 | 1량 | 1량 |
『대한예전』 | 7량 | 5량 | 5량 | 4량 | 3량 | 2량 | 2량 | 1량 | 1량 |
기타
- 유래: 양관의 형태는 한나라의 진현관(進賢冠)에서 유래.
시각자료
- "양관을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양관", 문화원형백과,『네이버TV』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양관 | A는 B를 보여준다 | |
경국대전 | 양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국조오례의서례 | 양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대한예전 | 양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속대전 | 양관 | A는 B를 기록한다 | |
시경 | 양관 | A는 B를 기록한다 |
복식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관 | 조복 | A는 B의 부분이다 |
인물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문무백관 | 양관 | A는 B를 착용한다 |
복식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관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노드 | 양관 | A는 B를 소장한다 |
참고문헌
- 『시경(詩經)』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대한예전(大韓禮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周錫保,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戱劇出版社, 1983.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姜淳弟 「冠帽 硏究(Ⅲ)」, 『생활과학연구논집』 Vol.16 No.1,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