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기치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공간정보) |
(→내용)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제사상에 사용되는 [[제기]](祭器)의 명칭과 수량에 관한 기록이다. 앞부분에는 자료의 명칭으로 ‘졔긔치부’와 ‘祭器記’를 쓰고, 뒷부분에는 작성 시기로 ‘갑오팔월 이십이일’을 명시하였다. 본문에는 실과접시 4죽 6립, 채접시 3죽 9립, 피접시 1죽, 저즌첩 2죽 3립, 소보아 4죽, 대보아 2죽2립, 식기 7, 바리 1, 종자 1죽, 대접 4립, 잔 8, 잔대 7, 촉대 8, 섭촉대 3, 작은 촉대 2, 주전자 2, 편접시 2, 산소편접시 4, 양푼 4, 쟁반 4, 술 1단, 저 1단, 족술 7, 구기 1 등을 기록 하였다. 그릇의 단위 가운데 ‘립(立)’은 낱개를 뜻하고, ‘죽(竹)’은 20개의 묶음를 뜻한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55쪽.</REF> | 제사상에 사용되는 [[제기]](祭器)의 명칭과 수량에 관한 기록이다. 앞부분에는 자료의 명칭으로 ‘졔긔치부’와 ‘祭器記’를 쓰고, 뒷부분에는 작성 시기로 ‘갑오팔월 이십이일’을 명시하였다. 본문에는 실과접시 4죽 6립, 채접시 3죽 9립, 피접시 1죽, 저즌첩 2죽 3립, 소보아 4죽, 대보아 2죽2립, 식기 7, 바리 1, 종자 1죽, 대접 4립, 잔 8, 잔대 7, 촉대 8, 섭촉대 3, 작은 촉대 2, 주전자 2, 편접시 2, 산소편접시 4, 양푼 4, 쟁반 4, 술 1단, 저 1단, 족술 7, 구기 1 등을 기록 하였다. 그릇의 단위 가운데 ‘립(立)’은 낱개를 뜻하고, ‘죽(竹)’은 20개의 묶음를 뜻한다. <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55쪽.</REF> | ||
− | + | ||
==부연설명== | ==부연설명== | ||
− | +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2017년 4월 30일 (일) 10:51 판
제기치부 | |
한자명칭 | 祭器置簿 |
---|---|
영문명칭 | A document about the names and numbers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
간행시기 | 갑오년(시간 추정하기) |
기탁처 | 해남윤씨 녹우당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26.2×48.8㎝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장 |
표기문자 | 한글 |
정의
제사상에 사용되는 제기(祭器)의 명칭과 수량에 관한 기록이다.
내용
제사상에 사용되는 제기(祭器)의 명칭과 수량에 관한 기록이다. 앞부분에는 자료의 명칭으로 ‘졔긔치부’와 ‘祭器記’를 쓰고, 뒷부분에는 작성 시기로 ‘갑오팔월 이십이일’을 명시하였다. 본문에는 실과접시 4죽 6립, 채접시 3죽 9립, 피접시 1죽, 저즌첩 2죽 3립, 소보아 4죽, 대보아 2죽2립, 식기 7, 바리 1, 종자 1죽, 대접 4립, 잔 8, 잔대 7, 촉대 8, 섭촉대 3, 작은 촉대 2, 주전자 2, 편접시 2, 산소편접시 4, 양푼 4, 쟁반 4, 술 1단, 저 1단, 족술 7, 구기 1 등을 기록 하였다. 그릇의 단위 가운데 ‘립(立)’은 낱개를 뜻하고, ‘죽(竹)’은 20개의 묶음를 뜻한다. [1]
부연설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제기치부 | 제기 | A는 B를 ~했다 | |
제기치부 | 해남윤씨 녹우당 | A는 B를 ~했다 | |
제기치부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를 ~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갑오년 | 제기치부는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제기치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었다 |
34.551087 | 126.622449 | 제기치부는 해남윤씨 녹우당에 기탁했다 |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