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우-황산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공간정보)
86번째 줄: 86번째 줄:
 
|37.537122 || 126.977156 ||{{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37.537122 || 126.977156 ||{{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
|36.207173 || 127.237210 || {{PAGENAME}}은 [[황산벌]을 배경으로 한다.
+
|36.207173 || 127.237210 || {{PAGENAME}}은 [[황산벌]]을 배경으로 한다.
 
|}
 
|}
  

2017년 4월 11일 (화) 16:51 판


계백장군의 황산싸움
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
작가 오승우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의자왕(義慈王) 20년(660년) 6월, 백제의 5천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에 맞서 싸운 전투를 표현한 기록화로 1976년 오승우 화백이 그렸다.

설명

작품 소재

660년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은 13만 명의 병력으로 산동반도의 내주(萊州)를 출발해 서해를 건너 백제로 진군하였고, 김유신은 5만 명의 신라군으로 백제를 공격하였다. 신라군이 7월 9일 탄현을 넘어 황산벌로 진군해 오자 의자왕은 장군 계백(階伯)에게 5,000명의 결사대를 조직하게 해 신라군을 저지하도록 하였다.

작품 배경

660년 백제와 신라가 대규모 전투를 벌였던 황산벌은 당시 백제의 황등야산군의 벌판으로, 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일대의 벌판을 말한다.[1]

작품 구도

화면 중앙에 갑옷과 투구로 무장한 [[계백]이 피묻은 칼을 치켜들고 신라군 진영을 향해 돌진하고 있고, 뒤로는 수(帥)자기를 단 창을 들고 백제 병사가 뒤따르고 있다. 계백의 뒤를 따르는 백제군들은 대부분 갑옷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왼편의 병사는 윗옷이 벗겨진 채 창을 휘두르며 신라군 진영으로 말을 몰고 있다. 전체적으로 왼쪽에 백제군이 오른쪽으로 신라군이 위치하여 혼전을 치루는 있는 장면이다.

시각적 안내

계백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우 오승우-황산싸움 A는 B를 그렸다. 1976년
전쟁기념관 오승우-황산싸움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
오승우-황산싸움 계백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오승우-황산싸움 황산벌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오승우-황산싸움 황산벌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김유신 황산벌전투 A는 B에 참가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오승우가 오승우-황산싸움를 제작하였다.
1991년 01월 31일- 1992년 01월 30일 청와대가 오승우-황산싸움를 대여하였다.
1998년 전쟁기념관가 오승우-황산싸움를 소장하고 있다.
660년 6월 계백황산벌전투에 참가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7122 126.977156 오승우-황산싸움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36.207173 127.237210 오승우-황산싸움은 황산벌을 배경으로 한다.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11-15쪽

주석

  1. "황산벌", 『디지털논산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0",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3. "민족기록화13(황산벌전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