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40번째 줄: 40번째 줄: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Image:최대섭-독립선언-1976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imagemap>Image:최대섭-독립선언-1976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2017년 4월 6일 (목) 02:49 판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3시까지 4인을 기다리다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다.
해당 작품은 삼일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을 담고있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재현되어 있는데, 작품 정면에 앉아있는 손병희를 기준으로 시계 오른쪽 방향으로

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태화관으로, 지금의 종로구 인사동에 있던 요릿집으로 명월관의 분점격이었다.[1] 현재 태화관이 있던 자리에는 태화빌딩이 들어섰고,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시각적 안내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손병희한용운백용성나인협양한묵박희도이승훈오세창최린임예환권병덕이갑성3.1독립선언서3.1독립선언서3.1독립선언서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빌딩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관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독립선언식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 33인 A는 B와 관련이 있다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제작연도 1975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국회총무처 대여기간 1979년-1991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독립기념관 대여기간 1991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빌딩 2017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소장처 태화빌딩 37.5719465 126.9845616

그래프

임시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주석

  1.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
  2. 국가기록원 아카이브, '민족기록화' 검색(3월 9일 확인)
  3. 국가기록원 아카이브, '민족기록화' 검색(3월 9일 확인)
  4. 국가기록원 아카이브, '민족기록화' 검색(3월 9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