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거돈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내용)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거돈사는 비롯한 이런 남한강 유역의 여러 절들처럼 본래는 지방 호족들과 연결된 법안종 계통의 선종가람이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26&cid=42665&categoryId=42668 원주 거돈사터]", 김봉렬,『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하지만 이후 교학과 천태학을 집대성한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했을 때 거돈사는 영암사, 지곡사 등의 5대 교종사찰과 함께 천태종의 기반사원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 [[지종]] 또한 천태학승이었으며, 이곳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하였기 때문에 경내에서 탑비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거돈사는 고려 후기에 다시 선종도량이 되어 수행승들이 머물렀으며 [[지겸]] 등이 법맥을 이어왔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412&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 거돈사는 비롯한 이런 남한강 유역의 여러 절들처럼 본래는 지방 호족들과 연결된 법안종 계통의 선종가람이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226&cid=42665&categoryId=42668 원주 거돈사터]", 김봉렬,『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하지만 이후 교학과 천태학을 집대성한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했을 때 거돈사는 영암사, 지곡사 등의 5대 교종사찰과 함께 천태종의 기반사원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 [[지종]] 또한 천태학승이었으며, 이곳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하였기 때문에 경내에서 탑비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거돈사는 고려 후기에 다시 선종도량이 되어 수행승들이 머물렀으며 [[지겸]] 등이 법맥을 이어왔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43412&cid=42840&categoryId=42842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ref> | ||
− |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 + |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경내 문화재로는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와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있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경우 일제시대에 반출됐는데, 광복 후 되찾아와 현재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거돈사지에는 원주시가 국·도·시비 2억원을 들여 중요무형문화재 120호 석장 이재순 씨에게 의뢰해 제작한 재현품이 세워져 있다.<ref>"[http://www.gg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63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2017년 4월 1일 확인</ref> |
<br><br> | <br><br> | ||
===관련 문화유산=== | ===관련 문화유산=== |
2017년 4월 1일 (토) 18:57 판
거돈사지 (居頓寺址) |
|
대표명칭 | 거돈사지 |
---|---|
한자 | 居頓寺址 |
주소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9 |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168호 |
문화재 지정일 | 1968년 12월 19일 |
관리자 | 원주시 |
경내문화재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原州 居頓寺址 圓空國師塔碑),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原州 居頓寺址 三層石塔) |
|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1]
내용
거돈사지의 대체적인 윤곽은 1989~1992년에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발굴조사과정에서 드러났다. 7,500평 넓이의 절터는 건물의 배치와 규모를 잘 알 수 있을 정도로 보존이 잘 되어 있었다. 발굴조사결과, 거돈사는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창건된 후 고려 초기에 중창돼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조선 전기까지 존속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2]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거돈사는 현계산에 있는데, 고려의 최충이 지은 승묘탑비가 있다(居頓寺在玄溪山有 高麗崔沖所撰僧勝妙碑)"라는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
거돈사의 창건시기로 추정되는 신라말기는 구산선문이 개창되어 선종의 번성과 함께 지방불교가 중흥하던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맞물려 고려 초기를 기점으로 남한강 유역에 고달사, 법천사, 흥법사 등을 포함하는 크고 작은 수많은 절들이 지어졌고, 거돈사 또한 그 무렵 중창되고 사세를 확장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3] 거돈사는 비롯한 이런 남한강 유역의 여러 절들처럼 본래는 지방 호족들과 연결된 법안종 계통의 선종가람이었다.[4] 하지만 이후 교학과 천태학을 집대성한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했을 때 거돈사는 영암사, 지곡사 등의 5대 교종사찰과 함께 천태종의 기반사원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 지종 또한 천태학승이었으며, 이곳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하였기 때문에 경내에서 탑비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거돈사는 고려 후기에 다시 선종도량이 되어 수행승들이 머물렀으며 지겸 등이 법맥을 이어왔다. [5]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경내 문화재로는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와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있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경우 일제시대에 반출됐는데, 광복 후 되찾아와 현재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거돈사지에는 원주시가 국·도·시비 2억원을 들여 중요무형문화재 120호 석장 이재순 씨에게 의뢰해 제작한 재현품이 세워져 있다.[6]
관련 문화유산
건립시기 | 문화유산 | 특징 |
---|---|---|
1025(현종 16)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原州 居頓寺址 圓空國師塔碑) |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씀.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原州 居頓寺址 三層石塔)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原州 居頓寺址 圓空國師塔) | 탑비가 건립될 때 함께 세워진 것으로 추정.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
동영상
- TAEMIX STUDIO, "사라진 절터의 비밀, 거돈사지 -태믹스의 역사지식문화 콘텐츠", YouTube, 게시일: 2015년 6월 8일. 2017년 3월 30일 확인.
갤러리
- Taegosa.jpg
고양 태고사 대웅보전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jpg
-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Pedestal.jpg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의 귀부
- Taegosa s to n.jpg
남쪽에서 바라본 태고사
- Taegosa Sansingak.jpg
태고사 산신각
-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0.jpg
-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1.jpg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018년 | 지종이 원주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했다. |
1025년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가 건립되어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
1948년 | 일본인 집에 있던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
1968년 | 원주 거돈사지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1984년 |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정비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
1989~1992년 |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4차례에 걸쳐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 있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지종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지겸 | 원주 거돈사지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최충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김거웅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참고문헌
한림대학교 박물관, 『거돈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2000
주석
- ↑ "거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 ↑ "거돈사지",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한국콘텐츠진흥원, 2006,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 ↑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 ↑ "원주 거돈사터", 김봉렬,『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 ↑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 ↑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2017년 4월 1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