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열 분재 편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연)
(관련항목)
41번째 줄: 41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span style='color:blue'>'''[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서동신/20170117_동신2-1.htm 연계 관계망 보기]'''</span>
 
 
 
{|class="wikitable sortable"  
 
{|class="wikitable sortable"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 || A는 B를 본보기로 삼았다 ||
+
| [[송시열]] || {{PAGENAME}} || A는 B를 작성하였다 ||
|-
 
| {{PAGENAME}} || [[도산|도산(陶山)]] || A는 B의 명칭을 차용했다 ||
 
|-
 
| {{PAGENAME}} 목판본 || [[도산서원|도산서원(陶山書院)]]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언지|언지(言志)]]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언학|언학(言學)]]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도학|도학(道學)]] || {{PAGENAME}} || A는 B에 언급된다 ||
 
|-
 
| [[도산십이곡발문|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 || {{PAGENAME}} || A는 B에 실려있다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626 이황(李滉)] || {{PAGENAME}} || A는 B를 창작하였다 || 1565년
 
|-
 
| {{PAGENAME}}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 시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802&cid=41708&categoryId=44531 장육당육가(臟六堂六歌)] || A는 B를 본보기로 삼았다 ||
 
|-
 
| {{PAGENAM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1586 한림별곡(翰林別曲)] || [[도산십이곡발문|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 || A는 B에 언급된다 ||
 
|-
 
|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ETC_A9999_1_0018662 이별(李鼈)] || [[도산십이곡발문|도산십이곡발문(陶山十二曲跋文)]] || A는 B에 언급된다 ||
 
|-
 
|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ETC_A9999_1_0018662 이별(李鼈)]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6802&cid=41708&categoryId=44531 장육당육가(臟六堂六歌)] || A는 B를 창작하였다 ||
 
 
|-
 
|-
 
|}
 
|}

2017년 3월 28일 (화) 17:57 판

송시열 분재 편지
한글팀 송시열 분재편지.png
영문명칭 Song Siyeol’s writing to his daughter-in-law
작자 송시열
간행시기 1671년(현종12)
소장처 국립청주박물관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33.0×102.5㎝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671년(현종12) 5월 10일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손자 며느리 박씨에게 써준 글이다.

내용

1671년(현종12) 5월 10일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손자 며느리 박씨에게 써준 글이다. 송시열은 후사가 없던 형의 부부의 신주를 자신의 손자 송은석(宋殷錫)에게 모시게 하였다. 신주를 당부하며 제사 비용을 위한 땅과 노비의 상세 내역을 기록해 송은석에게 주었는데, 그 내용을 손자 며느리가 알기 쉽도록 한글로 풀어 써준 것이 바로 이 문서이다.[1]

부연항목

참고 [1]

부연

미작성.[2]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송시열 송시열 분재 편지 A는 B를 작성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65년 이황(李滉)도산십이곡을 창작하였다.

공간정보

위도정보 경도정보 내용
37.39197 127.054387 송시열 분재 편지이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36.727560 128.843271 송시열 분재 편지 목판본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송시열 분재 편지 편찬자 송시열
송시열 분재 편지 인물 손자 며느리 박씨
송시열 분재 편지 인물 송은석
송시열 분재 편지 소장처 국립청주박물관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송시열 분재 편지 간행년 1671년
송시열 분재 편지 간행년 현종12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송시열 분재 편지 소장처 국립청주박물관 36.649161 127.512186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78쪽.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7년 1월 20일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발표내용'(박꽃새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