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작가정보_김지선
+
{{작가정보
|국문명 = 박석호<ref>이미지 출처 : "[http://www.okcc.or.kr/html/kr/person/person_16.html 박석호(朴錫浩)]", 『옥천문화원 온라인 서비스』, 옥천문화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사진= 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박석호.jpg
|한자명 = 朴錫浩
+
|사진출처=  "[http://www.okcc.or.kr/html/kr/person/person_16.html 박석호(朴錫浩)]", <html><online style="color:purple">『옥천문화원』<sup>online</sup></online></html>.
|영문명 = Park Suk Ho
+
|대표명칭 = 박석호
|출생 - 사망 = 1921년 7월 9일 - 1994년 5월 20일
+
|한자표기 = 朴錫浩  
|출생지 = 충북 옥천
+
|영문명칭 = Park Suk-ho 
 +
|본명 =
 +
|호 =
 +
|생년 = 1921년 7월 9일
 +
|몰년 = 1994년 5월 20일  
 +
|출생지 = 충북 옥천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
|분야 = 서양화
|대표작품 = [http://www.ok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70 항구, 1986년]
+
|필드수 =
|image =  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박석호.jpg
 
 
}}
 
}}
 +
=='''정의'''==
 +
대한민국 서양화가.
  
=='''작가소개'''==
+
=='''내용'''==
호적상 1919년이지만 그의 작가 연보에 나와 있는 출생연대는 1921년이다. 그가 태어날 당시 이원면은 이남면과 이내면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그가 태어난 주소는 이남면 건진리다. 아버지 박장흠은 4대 독자로, 손이 귀한 집에서 태어났으며, 두 형제였지만 형 박병호가 세상을 떠나면서 고향에서는 그의 행적을 증언해 줄 만한 친적을 만날 수가 없다. 다만,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가 선대를 이어 살던 곳이었고, 어머니가 옥천 이원에서 박석호를 낳았다.<br/>
+
박석호는 1921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났다. 20대에 [[김중현]]과 남관의 화실에서 그림공부를 했던 그는 [[앙데팡당전]]에 출품하여 최고상인 미술협회상을 수상하였다. 1949년 31세의 다소 늦은 나이로 [[홍익대학교]] 미술학부에 1회 입학하였으며, 이후 [[김환기]]를 만나 인간적인 감화를 받았다고 한다. 졸업 모교 조교수로 재직하였으나 1965년 학내파동으로 퇴직하였다.<br/>  
1949년 박석호는  화가의 꿈을 이루겠다는 신념을 갖고 무작정 상경하여 처음으로 생긴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1회 신입생으로 입학, 한국전쟁을 겪은 후 1953년 졸업하게 되고, 졸업과 동시에 학교 조교로 근무하면서 스스로 '인간적 감화를 받았다'는 김환기를 만나게 되었다. 김환기는 박석호가 너무 착하다며 차게 살라며 한원(寒園)이라는 호를 지어주게 되었다고 전한다. 박석호는 1954년 홍익대를 졸업 하면서 모교 조교수로 첫 출발을 했지만, 1965년 말에 학내 교수 파동으로 당시 서양화과 학과장이었던 이봉상 교수와 함께 퇴직하게 된다. 그 후, 이봉상 교수와 함께 운영하던 국제미술학원에서 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다.<br/>
 
그는 1956년 8월 신인회 창립회원이 되어 창립전에 5점의 작품을 출품했다. 신인회전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았지만 이 시기를 박석호 예술세계의 1기라고 미술계에서는 본다. 박석호가 미술계의 주목을 받은 것은 그가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화풍을 구축하며 진솔하게 자기의 시대를 살다가 갔기 때문이다. 우리 시대의 소위 잘 나가는 작가가 아니었던 그는 국전에 출품한 적도 현대 미술위 시류에 따라 발맞추어 간적도 없다. 그런 그를 미술계에서는 화단의 야인(野人)이라 칭하기도 한다.<br/>
 
한국 서양화 화단이 사실과 추상이라는 미술양식의 이분법적 형식에 양분되어 갈 때, 박 화백의 당시의 그림은 사실과 추상을 동시에 아우르는 중용적 방법을 시도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박 화백의 화풍은 엄밀히 말할 때 사실적 표현이 아니라 구상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하다. 구상은 사실과 달리 객관적인 진실을 존중하지만 눈에 비치는 그대로가 아니라, 주관적인 해석을 통한 자연의 긍정이기 때문이다.<br/>
 
그는 서민의 생활을 보다 진솔하게 담아내기 위해 동해안과 남해안일대를 순회여행하기도 했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어촌' `포구' `어부들' `해변' `입항' `부두' `기다리는 사람들'의 작품을 쏟아냈다. 바다와는 전연 관련이 없고 바다와는 거리가 먼 고향에서 태어났음에도 그의 그림소재는 배와 포구 등 바다를 소재로 한 것들이 절대적으로 많다. 그 까닭에 대해 그는 1979년 어느 여성 월간지의 기고를 통해 이렇게 썼다.
 
내가 두메산골의 농촌 출신이라 어려서부터 바다를 동경한 탓인가 아니면 가장 젊음을 구가했어야 할 무렵에 피난지 부산에서 자갈치 시장에 맛을 들인 탓일까! 어떻든 바다와 섬마을과 나와는 끊을 수 없는 사이가 되고 말았다. 그래서인지 그림이 어려울 때엔 고향처럼 포구와 어촌이 머리에 떠오른다. 그러나 바닷가에 화실을 가지라는 권고를 받아들이고 싶은 뜻이 없다. 그렇게 되면 나는 그리움을 빼앗길 것 같다. 그리움을 빼앗긴 인간이란 희망없이 사는 인간을 연상시킨다. 그리움이 있기에 그것을 만족시키는 씁쓸한 환희가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런 그를 세상 위로 끌어 올린 것은 1996년 4월 12일부터 5월 1일까지 19일간 예술의 전당이 개최한 재조명 작가전 첫 순서로 박석호전을 가진 것이 계기가 되었다. 재조명 작가전은 박석호라는 화가가 어느 누구의 화풍이나 계열에도 이름을 내지 않고 있으나 이미 한국 미술계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많은 이들이 인정하고 있다는 증거였다.<br/>
+
[[신인회]]를 비롯하여 [[신상회]]와 [[구상전]] 등 당시 주요한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한 그는 최고의 권위를 가진 등용문이자 제도권 전시였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끝까지 외면하고 재야작가로 남았다. 미술계의 시류나 명예에 따르지 않고 자신의 화풍으로 자신의 그림을 그리고자 하였기 때문이다.<br/>
시류에 영합함이 없이 사회적 명예와도 담을 쌓고 오직 자기사고와 자기 방식대로만 작품을 했던 박석호는 1992년 어느날 갑자기 쓰러져 1년 반 동안의 투병 끝에 1994년 임종을 맞이 했다. 그의 유해는 유언에 따라 북한산 비봉자락에 뿌려졌다.
+
1950년대 후반 이후 화단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을 중심으로 한 소위 '국전풍'의 아카데믹한 사실적 화풍에 반대하여 젊은 작가들의 주도로 추상표현주의 경향의 하나인 [[앵포르멜]](Informel)운동이 열풍을 일으키고 있었다.<br/>
 +
그는 이러한 두 경향이 대립하던 시절 그 둘을 종합하는 자신의 길을 모색하여 자신의 주관적인 대상해석과 표현으로 부산생활의 경험과 바다여행을 통해 포구와 어촌 등 바다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음산하고 어두운 화면은 생존을 위해 싸우는 어민과 서민들의 불안한 상황을 표현적으로 나타낸 그의 작품들은 삶의 의미와 진실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작가정신이 담긴 리얼리즘으로 평가된다.<br/>
  
=='''학력'''==
+
이후 이어지는 그의 회화는 거친 필선과 어두운 색조로 대상을 재구성한 그의 화면은 무겁고 격정적인 감성으로 채워져 있다. 자연의 형태를 버리고 대상과 거리를 둠으로써 내부의 심상이 자유롭게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소재가 된 사물들은 잠시 빌어 사용할 뿐 자신의 예술적 감성과 생각을 담음으로써 완성도 높은 표현과 묘사를 추구하는 데서 오는 매너리즘이나 세간의 평가와 상업주의에 빠지지 않고자 하였다.
*1953년 홍익대학교 학사
 
  
=='''경력'''==
+
===학력===
*신상전 및 구상전 창립회원
+
*1953년 [[홍익대학교]] 졸업
*1961년-1966년 홍익대학교 교수
 
*1982년 제1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전시'''==
+
===경력===
* 1956년-1958년, 신인회전, 신세계 화랑
+
*신상전, 구상전 창립회원
* 1962년, 개인전, 국립도서관 화랑
+
*제1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 1962년-1963년, 신상회회원전
+
*홍익대학교 교수
* 1965년-1966년, 상파울로 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6년, 개인전, 중앙공보관 화랑
 
* 1967년, 구상전
 
* 1975년-1976년, 한일 미술 교류전, 갤러리 현대
 
* 1976년, 한국 현대미술 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7년, 개인전, 미술회관
 
* 1977년-1978년, 한국 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한국 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79년, 한국 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개인전, 희 화랑
 
* 1981년, 개인전, 희 화랑
 
* 1982년, 중진작가 초대전, 롯데 화랑
 
* 1982년, 살롱 도 똔느, 프랑스 파리
 
* 1982년, 국제 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년, 개인전, 동산방 화랑
 
* 1983년-1985년, `83, `85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0년, `90현대 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2년, 구상 회화 현재전, 청송 갤러리
 
* 1993년, 구상회화전, 갤러리아 아트홀
 
* 1993년, 전관 개관 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6년, 개인전, 예술의전당
 
* 한국 수채화작가회전, 서울 갤러리
 
  
=='''수상'''==
+
===전시===
 +
*1956-58  신인회전
 +
*1962-63년  신상회 회원전
 +
*1965-66  상파울로 비엔날레, 상파울로
 +
*1976  한국현대미술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7-78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79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살롱 도 똔느, 프랑스 파리
 +
*1982  국제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
*1993  전관 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6  박석호전, 예술의 전당 미술관
 +
  
=='''주요작품'''==
+
=='''지식 관계망'''==
<gallery>
+
===관계정보===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어부들, 1992년.jpg| 어부들, 1992년<ref>김재관,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163738 김재관의 현대미술 산책 - 박석호 화백(1919~1994)]", 『충북일보』, 2011년 1월 23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항구, 1986년.jpg| 항구, 1986년<ref>"[http://www.ok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70 박석호의 미술사적 의미]", 『옥천신문』, 2004년 7월 16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한촌, 1993년.jpg   | 박석호의 유작 : 한촌, 33 x 24, 캔버스에 유채, 1993년.<ref>송유재, "http://bravo.etoday.co.kr/view/atc_view.php?varAtcId=4527 머무는 배, 흐르는 물]",『브라보마이라이프』, 2015년 10월 12일. 2017년 03월 26일 확인.</ref>
+
|-
 +
| [[신영상]]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A는 B를 그렸다 ||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1976년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이 [[신영상]]에 의해 그려졌다
 +
|-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입항.jpg | 입항, 1977, 캔버스에 유채, 100x73cm<ref>*후아, "[http://blog.naver.com/jujukey/220507340880 박석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후아 전중관의 그림과 글 세상』<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5년 10월 13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수난.jpg | 수난(受難), 1987, 캔버스에 유채, 80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7816 수난(受難)]",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박석호_희망.jpg | 희망, 1987, 캔버스에 유채, 146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336 희망]",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gallery>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민족기록화'''==
 
<gallery>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gallery>
 
</gallery>
 +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박석호』, 예술의 전당 , 1996.
 +
#*『어제의 작가 : 충북에 살다간 미술인들』, 청원군립대청호미술관, 2010.
 +
 +
===유용한 정보===
 +
# "[http://da-arts.knaa.or.kr/blog/shinyoungsang.do 신영상 블로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 "[http://monthlyart.com/dicwho/%EC%8B%A0%EC%98%81%EC%83%81-2/ 신영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월간미술』<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분류:니당]]
 +
 +
 +
 
 +
  
 
=='''관련 항목'''==
 
=='''관련 항목'''==
100번째 줄: 13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9D%ED%98%B8-2/ 박석호]",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26일 확인.
 
*"[http://monthlyart.com/dicwho/%EB%B0%95%EC%84%9D%ED%98%B8-2/ 박석호]",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26일 확인.
 
*"[http://www.okcc.or.kr/html/kr/person/person_16.html 박석호(朴錫浩)]", 『옥천문화원 온라인 서비스』, 옥천문화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
 
*"[http://www.okcc.or.kr/html/kr/person/person_16.html 박석호(朴錫浩)]", 『옥천문화원 온라인 서비스』, 옥천문화원. 2017년 03월 26일 확인.

2017년 8월 22일 (화) 19:22 판

박석호(朴錫浩)
대표명칭 박석호
한자표기 朴錫浩
영문명칭 Park Suk-ho
생몰년 1921년 7월 9일-1994년 5월 20일
출생지 충북 옥천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


정의

대한민국 서양화가.

내용

박석호는 1921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났다. 20대에 김중현과 남관의 화실에서 그림공부를 했던 그는 앙데팡당전에 출품하여 최고상인 미술협회상을 수상하였다. 1949년 31세의 다소 늦은 나이로 홍익대학교 미술학부에 1회 입학하였으며, 이후 김환기를 만나 인간적인 감화를 받았다고 한다. 졸업 후 모교 조교수로 재직하였으나 1965년 학내파동으로 퇴직하였다.

신인회를 비롯하여 신상회구상전 등 당시 주요한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한 그는 최고의 권위를 가진 등용문이자 제도권 전시였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을 끝까지 외면하고 재야작가로 남았다. 미술계의 시류나 명예에 따르지 않고 자신의 화풍으로 자신의 그림을 그리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1950년대 후반 이후 화단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을 중심으로 한 소위 '국전풍'의 아카데믹한 사실적 화풍에 반대하여 젊은 작가들의 주도로 추상표현주의 경향의 하나인 앵포르멜(Informel)운동이 열풍을 일으키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두 경향이 대립하던 시절 그 둘을 종합하는 자신의 길을 모색하여 자신의 주관적인 대상해석과 표현으로 부산생활의 경험과 바다여행을 통해 포구와 어촌 등 바다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음산하고 어두운 화면은 생존을 위해 싸우는 어민과 서민들의 불안한 상황을 표현적으로 나타낸 그의 작품들은 삶의 의미와 진실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작가정신이 담긴 리얼리즘으로 평가된다.

이후 이어지는 그의 회화는 거친 필선과 어두운 색조로 대상을 재구성한 그의 화면은 무겁고 격정적인 감성으로 채워져 있다. 자연의 형태를 버리고 대상과 거리를 둠으로써 내부의 심상이 자유롭게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소재가 된 사물들은 잠시 빌어 사용할 뿐 자신의 예술적 감성과 생각을 담음으로써 완성도 높은 표현과 묘사를 추구하는 데서 오는 매너리즘이나 세간의 평가와 상업주의에 빠지지 않고자 하였다.

학력

경력

  • 신상전, 구상전 창립회원
  • 제1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 홍익대학교 교수

전시

  • 1956-58 신인회전
  • 1962-63년 신상회 회원전
  • 1965-66 상파울로 비엔날레, 상파울로
  • 1976 한국현대미술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7-78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79 한국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살롱 도 똔느, 프랑스 파리
  • 1982 국제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 1990 한국미술-오늘의 상황, 예술의전당
  • 1993 전관 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6 박석호전, 예술의 전당 미술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영상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A는 B를 그렸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신영상에 의해 그려졌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후아, "박석호", 『네이버 블로그 - 후아 전중관의 그림과 글 세상』online, 작성일: 2015년 10월 13일.
  2. "수난(受難)",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희망",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박석호』, 예술의 전당 , 1996.
    • 『어제의 작가 : 충북에 살다간 미술인들』, 청원군립대청호미술관, 2010.

유용한 정보

  1. "신영상 블로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2. "신영상", 『월간미술』online.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박석호 박석호-추풍령싸움 A는 B를 그렸다
박석호 화단의 야인 A는 B로 칭해진다
박석호 구상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관계속성
박석호 박석호-추풍령싸움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그래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