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죽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의례물품정보
 
{{궁중의례물품정보
|대표명칭 = 죽책(竹冊)
+
|대표명칭= 죽책(竹冊)
|이미지 = 죽책(竹冊))-wiki.jpg
+
|이미지=  
|그림출처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분류= -
|이칭별칭 =  
+
|의례= 책봉(冊封), 존숭(尊崇), 추증(追贈), 견전(遣奠), 천전(遷奠)
|시대 = 조선
+
|용도= 의례용 문서
|사용의례 = 가례(嘉禮), 책례(冊禮), 존호(尊號), 시호(諡號), 휘호(徽號), 제례(祭禮)
+
|관련물품= [[옥인|옥인(玉印)]], [[내함|죽책내궤(竹冊內樻)]], [[외궤|죽책외궤(竹冊外樻)]]
|물품구성 = 여러 개의 죽간을 책처럼 엮음
+
|참조물품= 시죽책(諡竹冊), 애죽책哀竹冊
|쓰임새 = 국가·왕실 의식에 관련된 내용을 새김
 
 
}}
 
}}
</noinclude>
 
  
 
==정의==
 
==정의==
* 죽책(竹冊)은 죽간(竹簡)에 각종 국가·왕실 의식에 관련된 내용을 새긴 후, 이들을 책처럼 엮어서 만든 의례용 문서이다.
+
* 존호와 책봉에 관련된 내용을 죽간(竹簡)에 새긴 후 책(冊)으로 엮은 의례용 문서.
  
 
==사용상황==
 
==사용상황==
* 왕비나 왕세자·왕세자빈·왕세손·왕세손빈 및 정1품 후궁인 빈(嬪)책봉(冊封)하는 의식([[책례]])
+
*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및 정1품 후궁인 빈(嬪)과 관련된 책봉, 존호를 올리는 의식에서 사용하였다.
* 왕실 어른인 왕·왕비·왕대비·대왕대비에게 존호(尊號)·시호(諡號)·휘호(徽號) 등을 올리는 의식
 
* 국가 장례의 견전(遣奠), 천전(遷奠) 등을 봉행하는 의식
 
  
==물품 구성 및 형태==
+
==기본정보==
* 수십 개의 가늘고 긴 대나무 조각(죽간)을 책처럼 엮어 만든다.
+
* 죽책에 새기는 글을 죽책문(竹冊文)이라고 한다.
* 죽책에 새기는 글을 ‘죽책문(竹冊文)’이라고 한다.
+
* 죽책을 담는 가장 안쪽 상자를 [[내함|죽책내궤(竹冊內樻)]]라 하며, 이를 담는 바깥쪽 상자를 [[외궤|죽책외궤(竹冊外樻)]]라고 한다.
  
 
==관련항목==
 
==관련항목==
 +
'''물품 → 물품'''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PAGENAME}}''' || [[내함|죽책내궤(竹冊內樻)]] || A는 B에 담긴다  ||
 +
|-
 +
| [[내함|죽책내궤(竹冊內樻)]] || [[외궤|죽책외궤(竹冊外樻)]] || A는 B에 담긴다  ||
 +
|-
 +
| '''{{PAGENAME}}''' || [[옥인|옥인(玉印)]] || A는 B와 같이 사용된다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사이트===
+
'''저서'''
[http://uigwe.museum.go.kr/search/search?searchCondition=f&searchType=&searchKeyword=%E7%AB%B9%E5%86%8A&prevKeyword= 외규장각의궤]
+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
'''사이트'''
 +
* 박봉주, '[http://uigwe.museum.go.kr/dosul/dosulView?kind=%EC%A3%BD%EC%B1%85(%E7%AB%B9%E5%86%8A)&dataType=n&&lmenuType=a_4 죽책(竹冊)]',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 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
* 박봉주,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1284&category=A&sWord=죽책 죽책(竹冊)]',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박경,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6342 죽책(竹冊)]',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yoksa.aks.ac.kr/jsp/ee/View.jsp?ee10no=EE10_0001_008_060_01024 죽책(竹冊)]',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주석==
34번째 줄: 47번째 줄: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왕실]]
+
[[분류:물품]]
[[분류:흉례]]
 
[[분류:제례]]
 
[[분류:부묘]]
 

2017년 4월 10일 (월) 10:54 판


틀:궁중의례물품정보

정의

  • 존호와 책봉에 관련된 내용을 죽간(竹簡)에 새긴 후 책(冊)으로 엮은 의례용 문서.

사용상황

  • 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및 정1품 후궁인 빈(嬪)과 관련된 책봉, 존호를 올리는 의식에서 사용하였다.

기본정보

관련항목

물품 → 물품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죽책 죽책내궤(竹冊內樻) A는 B에 담긴다
죽책내궤(竹冊內樻) 죽책외궤(竹冊外樻) A는 B에 담긴다
죽책 옥인(玉印) A는 B와 같이 사용된다

참고문헌

저서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사이트

  • 박봉주, '죽책(竹冊)',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죽책(竹冊)',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박경, '죽책(竹冊)',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죽책(竹冊)',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