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련항목)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궁중인물정보 | {{궁중인물정보 | ||
− | |대표명칭 = 명성황후 | + | |사진= |
− | |작위명 = 왕비, | + | |사진출처= |
− | |이칭별칭 = 명성왕후(明成王后), 민비(閔妃) | + | |대표명칭= 명성황후 |
− | |재위기간 = 1866-1895(음) | + | |한자표기= 明成皇后 |
− | |출생사망 = 1851년 | + | |작위명= [[왕비]], 추존 [[황후]] |
− | |능묘 = 홍릉(洪陵) [https://www.google.com/maps/place/37%C2%B037'54.9%22N+127%C2%B012'39.9%22E/@37.631906,127.211094,1112m/data=!3m1!1e3!4m5!3m4!1s0x0:0x0!8m2!3d37.631906!4d127.211094 37.631906, 127.211094] | + | |이칭별칭= 명성왕후(明成王后), 민비(閔妃) |
− | |배우자 = 조선의 제26대 왕 [[고종|고종(高宗)]] | + | |재위기간= 1866-1895(음) |
− | |자녀 = 4남 1녀, [[순종|순종(純宗)]] | + | |출생사망= 1851년-1895년 8월 20일(음) |
− | |부친 = 민치록(閔致祿) | + | |능묘=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홍릉(洪陵) [https://www.google.com/maps/place/37%C2%B037'54.9%22N+127%C2%B012'39.9%22E/@37.631906,127.211094,1112m/data=!3m1!1e3!4m5!3m4!1s0x0:0x0!8m2!3d37.631906!4d127.211094 37.631906, 127.211094] |
− | | | + | |배우자= 조선의 제26대 왕 [[고종|고종(高宗)]] |
− | |전임자 = [[철인왕후|철인왕후 김씨(哲仁王后 金氏)]] | + | |자녀= 4남 1녀, [[순종|순종(純宗)]] |
− | |후임자 = [[순정효황후|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 + | |부친=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민치록|민치록(閔致祿)]] |
+ | |모 = 한창부부인 이씨(韓昌府夫人) 한산이씨(韓山李氏) 이규년(李圭秊)의 딸 | ||
+ | |전임자= [[철인왕후|철인왕후 김씨(哲仁王后 金氏)]] | ||
+ | |후임자= [[순정효황후|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 ||
}} | }} | ||
+ | =='''정의'''== | ||
+ | [[고종]]의 비로, [[순종]]의 어머니이다. 생전에 [[왕비]]였는데, 일본에게 살해당한 뒤 [[고종]]이 [[황제]]가 될 때 [[황후]]로 추존되었다. | ||
− | == | + | =='''내용'''== |
− | + | ===생애=== | |
+ | [[명성황후]]는 여주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내다가 아버지가 죽은 뒤에는 서울 [[감고당|감고당(感古堂)]]에서 [[왕비]]가 될 때까지 살았으므로, 유년기에는 도시와 농촌을 고루 체험하였다.<ref>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22~23쪽.</ref> 1866년(고종 3)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비]]에 책봉되었다.<ref>『高宗實錄』 3년(1866) 3월 己卯: 「二十日詣仁政殿行冊妃禮」</ref> [[고종]]이 친정을 하고 [[흥선대원군|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의 관계가 틀어졌다. [[명성황후]]의 오빠인 [[민승호|민승호(閔升鎬)]]의 집에서 폭약이 터져 어머니 및 아들과 함께 죽었는데 이 배후에 [[흥선대원군]]이 있다는 의심이 있었다. 이후에는 친척인 [[민겸호|민겸호(閔謙鎬)]], [[민규호|민규호(閔圭鎬)]] 등을 가까이 하여 민씨척족 세도의 원인이 되었다.<ref>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29쪽.</ref> [[명성황후]]는 개항으로부터 [[임오군란|임오군란(壬午軍亂)]], 서구 열강과의 조약, [[갑신정변|갑신정변(甲申政變)]], [[동학운동]] 등 한국근대사의 중요한 순간에 주역 또는 조역처럼 언급되었다.<ref>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 명성황후의 권력과 희생 -」, 『史學硏究』 77, 한국사학회, 2005, 85쪽.</ref> 따라서 [[임오군란]] 등의 사건에서 공격의 표적이 되어, 죽은 것으로 처리되는 일도 있었다.<ref>『高宗實錄』 19년(1882) 6월 甲子: 「敎曰」</ref> 일본과의 갈등 속에서 1895년 일본 낭인들에게 살해당하였는데,<ref>『高宗實錄』 32년(1895) 8월 戊子: 「二十日卯時王后崩逝于坤寧閤」</ref> 이때 폐서인이 되었다가<ref>『高宗實錄』 32년(1895) 8월 庚寅: 「二十二日詔曰」</ref> 다시 위호(位號)가 회복되는 과정이 있었다.<ref>『高宗實錄』 32년(1895) 10월 丁丑: 「初十日詔曰」</ref> | ||
+ | |||
+ | ===사후=== | ||
+ | [[명성황후]]가 살해당한 뒤 [[고종]]은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하였는데, 이것이 [[아관파천|아관파천(俄館播遷)]]이다.<ref>『高宗實錄』 33년(1896) 2월 11일(양력): 「十一日上與王太子移蹕駐御于大貞洞俄國公使館」</ref> [[고종]]이 [[황제]]가 될 때 [[황후]]에 책봉되었다.<ref>『高宗實錄』 34년(1897) 10월 12일(양력): 「十二日行告天地祭」</ref>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에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이인 홍릉(洪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유릉(裕陵)과 함께 사적 제 204호로 지정되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2070000,31 남양주 홍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거행 의례=== | ===거행 의례=== | ||
+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ref>"[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149325&pos=4&total_df=7&uci=GK13153_00&sWord=%EB%AA%85%EC%84%B1%ED%99%A9%ED%9B%84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 ||
− | === | + | ==지식 관계망==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고종]] || 명성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 |- | ||
+ | | 명성황후 || [[왕비]]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명성황후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866년 3월 20일 || [[명성황후]]의 [[왕비]]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20%px"|공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 [[창덕궁 인정전]] || [[명성황후]]의 [[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 | ===갤러리===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50px> | |
− | +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왕비 명성왕후 숭릉01 문화재청.jpg|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Directory_Image.jsp?VdkVgwKey=13,02070000,31&imgfname=1625705.jpg&dirname=history_site&photoname=%ED%99%8D%EB%A6%89%20%EB%8A%A5%EC%B9%A8&photoid=1625705#pr2 홍릉]",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gallery> | |
− | + | ===영상===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
− | |||
− | ''' | + | =='''참고문헌'''== |
+ | ===인용 및 참조=== | ||
+ | * 『고종실록』 | ||
+ | * 『매천야록』 | ||
+ | * 강상규, 「명성왕후와 대원군의 정치적 관계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0-2, 한국정치학회, 2006. | ||
+ | * 김영수, 「을미사변, 그 하루의 기록 -대원군의 침묵과 명성황후암살의 배후」, 『梨花史學硏究』 39,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2009. | ||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
+ | * 민덕식,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어필(御筆)」, 『忠北史學』 25, 충북대학교 사학회, 2010. | ||
+ | * 박계리, 「「명성황후 발인반차도」와 발인 행렬」, 『美術史學報』 47, 미술사학연구회, 2016. | ||
+ | * 서영희, 「명성왕후 재평가」, 『역사비평』 60, 역사문제연구소, 2002. | ||
+ | * 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 명성황후의 권력과 희생 -」, 『史學硏究』 77, 한국사학회, 2005. | ||
+ | * 이배용, 「개화기 명성황후 민비의 정치적 역할」, 『국사관논총』66, 1995 | ||
+ | * 張暎淑, 「서양인의 견문기를 통해 본 명성황후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한국 근현대사 연구』 35, 한국군현대사학회, 2005. | ||
+ | * 지두환, 『고종황제와 친인척』, 역사문화, 2009. | ||
+ |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 ||
− | + | ===더 읽을거리===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 | + | * 정숭교, 명성황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명성황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1월 22일. |
− | + | *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229 명성왕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 | * [http://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460000,31 명성황후생가]", 문화재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김정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4876명성황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작성일: 2011년 3월 7일. |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 | ||
− | |||
− | |||
− |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 | ||
− | |||
− |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
2017년 9월 27일 (수) 18:19 판
명성황후 (明成皇后) |
|
대표명칭 | 명성황후 |
---|---|
한자표기 | 明成皇后 |
지위/역할 | 왕비, 추존 황후 |
이칭/별칭 | 명성왕후(明成王后), 민비(閔妃) |
재위기간 | 1866-1895(음) |
출생사망 | 1851년-1895년 8월 20일(음) |
능묘 |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홍릉(洪陵) 37.631906, 127.211094 |
배우자 | 조선의 제26대 왕 고종(高宗) |
자녀 | 4남 1녀, 순종(純宗) |
부친 |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민치록(閔致祿) |
전임자 | 철인왕후 김씨(哲仁王后 金氏) |
후임자 |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
목차
정의
고종의 비로, 순종의 어머니이다. 생전에 왕비였는데, 일본에게 살해당한 뒤 고종이 황제가 될 때 황후로 추존되었다.
내용
생애
명성황후는 여주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내다가 아버지가 죽은 뒤에는 서울 감고당(感古堂)에서 왕비가 될 때까지 살았으므로, 유년기에는 도시와 농촌을 고루 체험하였다.[1] 1866년(고종 3)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비에 책봉되었다.[2] 고종이 친정을 하고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과의 관계가 틀어졌다. 명성황후의 오빠인 민승호(閔升鎬)의 집에서 폭약이 터져 어머니 및 아들과 함께 죽었는데 이 배후에 흥선대원군이 있다는 의심이 있었다. 이후에는 친척인 민겸호(閔謙鎬), 민규호(閔圭鎬) 등을 가까이 하여 민씨척족 세도의 원인이 되었다.[3] 명성황후는 개항으로부터 임오군란(壬午軍亂), 서구 열강과의 조약, 갑신정변(甲申政變), 동학운동 등 한국근대사의 중요한 순간에 주역 또는 조역처럼 언급되었다.[4] 따라서 임오군란 등의 사건에서 공격의 표적이 되어, 죽은 것으로 처리되는 일도 있었다.[5] 일본과의 갈등 속에서 1895년 일본 낭인들에게 살해당하였는데,[6] 이때 폐서인이 되었다가[7] 다시 위호(位號)가 회복되는 과정이 있었다.[8]
사후
명성황후가 살해당한 뒤 고종은 신변의 위협을 느껴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하였는데, 이것이 아관파천(俄館播遷)이다.[9] 고종이 황제가 될 때 황후에 책봉되었다.[10]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에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이인 홍릉(洪陵)이 있으며, 1970년 5월 26일 유릉(裕陵)과 함께 사적 제 204호로 지정되었다.[11]
거행 의례
지식 관계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종 | 명성황후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명성황후 | 왕비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명성황후 | 책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articipates B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66년 3월 20일 | 명성황후의 왕비는 책례를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공간 | 내용 |
---|---|
창덕궁 인정전 | 명성황후의 왕비 책례를 거행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고종과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13]
영상
주석
-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22~23쪽.
- ↑ 『高宗實錄』 3년(1866) 3월 己卯: 「二十日詣仁政殿行冊妃禮」
-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 29쪽.
- ↑ 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 명성황후의 권력과 희생 -」, 『史學硏究』 77, 한국사학회, 2005, 85쪽.
- ↑ 『高宗實錄』 19년(1882) 6월 甲子: 「敎曰」
- ↑ 『高宗實錄』 32년(1895) 8월 戊子: 「二十日卯時王后崩逝于坤寧閤」
- ↑ 『高宗實錄』 32년(1895) 8월 庚寅: 「二十二日詔曰」
- ↑ 『高宗實錄』 32년(1895) 10월 丁丑: 「初十日詔曰」
- ↑ 『高宗實錄』 33년(1896) 2월 11일(양력): 「十一日上與王太子移蹕駐御于大貞洞俄國公使館」
- ↑ 『高宗實錄』 34년(1897) 10월 12일(양력): 「十二日行告天地祭」
- ↑ "남양주 홍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 ↑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홍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종실록』
- 『매천야록』
- 강상규, 「명성왕후와 대원군의 정치적 관계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40-2, 한국정치학회, 2006.
- 김영수, 「을미사변, 그 하루의 기록 -대원군의 침묵과 명성황후암살의 배후」, 『梨花史學硏究』 39, 이화여자대학교 사학연구소, 2009.
- 김창겸, 김선주, 권순형, 이순구, 이성임, 임혜련,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 민덕식,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어필(御筆)」, 『忠北史學』 25, 충북대학교 사학회, 2010.
- 박계리, 「「명성황후 발인반차도」와 발인 행렬」, 『美術史學報』 47, 미술사학연구회, 2016.
- 서영희, 「명성왕후 재평가」, 『역사비평』 60, 역사문제연구소, 2002.
- 이민원, 「근대의 궁중 여성 - 명성황후의 권력과 희생 -」, 『史學硏究』 77, 한국사학회, 2005.
- 이배용, 「개화기 명성황후 민비의 정치적 역할」, 『국사관논총』66, 1995
- 張暎淑, 「서양인의 견문기를 통해 본 명성황후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한국 근현대사 연구』 35, 한국군현대사학회, 2005.
- 지두환, 『고종황제와 친인척』, 역사문화, 2009.
- 한영우,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효형출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