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금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1) 변천 과정<ref>정희정(2016)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f> | 1) 변천 과정<ref>정희정(2016)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f> | ||
− | * 1485년 | + | * 1485년 [[『경국대전』]]에 명문화되어 있는 성균관 제학생도 학생복의 기본 구성은 복건형태의 연건후수(軟巾後垂)에 청금단령(靑衿團領)이었음.<ref>『經國大典』 ,「禮典」, '儀章條', "諸學生徒 緇布巾(在學) 團領(儒學用 靑衿) 條兒."</ref> |
* 하급 아전인 서리(書吏)의 의관과 유사하다고 하여 청금복 착용을 기피하게 됨. | * 하급 아전인 서리(書吏)의 의관과 유사하다고 하여 청금복 착용을 기피하게 됨. | ||
* 관외에서는 사복(私服)인 [[직령(直領)]]을 착용하였으며, 18세기 후반 직령과 [[도포(道袍)]]의 착용이 혼재하다가 이후 도포로 고착화됨. 이는 18세기 풍속화와 [[왕세자입학도(王世子入學圖)|기록화]] 등에 그려진 유생의 직령과 도포의 착용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 관외에서는 사복(私服)인 [[직령(直領)]]을 착용하였으며, 18세기 후반 직령과 [[도포(道袍)]]의 착용이 혼재하다가 이후 도포로 고착화됨. 이는 18세기 풍속화와 [[왕세자입학도(王世子入學圖)|기록화]] 등에 그려진 유생의 직령과 도포의 착용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2017년 3월 22일 (수) 19:49 판
청금복(靑衿服)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청금복(靑衿服) |
---|---|
이칭별칭 | 청금(靑衿), 청금단령(靑衿團領), 청금원령(靑衿圓領), 청단령(靑團領), 청삼(靑衫) |
착용신분 | 유생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유생복, 유학생(儒學生)의 옷[1]
기원
- 『시경』의 "靑靑子衿" 즉, "푸른 옷깃의 그대여"라는 시구의 첫 문장에서 유래된 것.
- 각주에 금(衿)은 영(領) 즉 옷깃이라 함.
- 성균관의 학생복인 청금(靑衿)이라는 명칭은 당(唐)에서 전래된 것으로 국학(國學)의 학생복인 청금복(靑衿服)에서 유래되었으며, 복식 형태는 명(明) 국자감의 청원령(靑圓領)[2]에서 기인.[3]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성균관의 제학생도(諸學生徒), 오부(五部) 유생들이 입는 학생복.
- 왕세자, 왕세손의 경우 입학례 과정 중에서 성균관 대성전(成均館 大成殿)에서 작헌의(爵獻儀)를 행할 때 상복(常服)인 곤룡포를 벗고 학생복으로 갈아입으며 왕복의(往復儀), 수폐의(脩幣儀), 입학의(入學儀)에도 계속 착용하였다.[4]
내용
1) 변천 과정[5]
- 1485년 『경국대전』에 명문화되어 있는 성균관 제학생도 학생복의 기본 구성은 복건형태의 연건후수(軟巾後垂)에 청금단령(靑衿團領)이었음.[6]
- 하급 아전인 서리(書吏)의 의관과 유사하다고 하여 청금복 착용을 기피하게 됨.
- 관외에서는 사복(私服)인 직령(直領)을 착용하였으며, 18세기 후반 직령과 도포(道袍)의 착용이 혼재하다가 이후 도포로 고착화됨. 이는 18세기 풍속화와 기록화 등에 그려진 유생의 직령과 도포의 착용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1746년(영조 22) 난삼(襴衫)을 생원진사방방의(生員進士放榜儀) 제생(諸生)들의 착용 복식으로 개정.(청금복과 난삼으로 이분화[7])
- 1884년 고종의 갑신의제개혁의 후속 조치인 사복변제절목(私服變制節目)에서 유생의 재복(齋服)은 구제(舊制)를 유지하되 사복(私服)은 착수의(窄袖衣)로 규정함.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노드 | 청금복 | A는 B를 보여준다 |
노드 | 청금복 | A는 B를 기록한다 |
복식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청금복 | 노드 | A는 B의 부분이다 |
인물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노드 | 청금복 | A는 B를 착용한다 |
복식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
청금복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기관/소장처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노드 | 청금복 | A는 B를 소장한다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복식사전:청금복
- ↑ 태종실록 21권, 태종 11년 6월 12일 신축 3번째기사:중국의 제도에 따라 성균관과 오부 유생들이 처음으로 청금을 입다
- ↑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80쪽.
- ↑ 정희정,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90~91쪽.
- ↑ 정희정(2016) 「조선시대 왕세자 입학례 절차와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 『經國大典』 ,「禮典」, '儀章條', "諸學生徒 緇布巾(在學) 團領(儒學用 靑衿) 條兒."
- ↑ 정희정(2016), 1788년 『춘관통고』에서 학생의 청금복과 방방의에서 착용하는 난삼이 공존하고 있어 청금복과 난삼은 다른 복제(服制)로 확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