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은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매학선생유고(梅壑先生遺稿) 2권 1책(영본). 목활자본. 원래 본집 15권과 부록으로 되어 있었으나, 산질되어 현재는 권15 「존문록(尊聞...)
 
11번째 줄: 11번째 줄:
 
[[요은집]](鬧隱集)  가운데 저자에 대한 부록을 지었다
 
[[요은집]](鬧隱集)  가운데 저자에 대한 부록을 지었다
  
 
+
 
 +
[[요은집]](鬧隱集)
 +
 
 +
권1의 「대학지도(大學之圖)」는 『대학』의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의 내용을 도식(圖式)으로 표시하고, 기질(氣質)·리기(理氣)·심(心)·성(性)·정(情)·지(志)·의(意)·명(命)·도(道)·덕(德)·재(才)·선(善) 등에 대하여 약간의 해설을 붙여 놓았고, 「중용지도(中庸之圖)」는 성과 도 및 교(敎)를 주축으로 하는 『중용(中庸)』의 대의(大意)를 도식으로 표시하고 설명하였으며, 「중용석의(中庸釋義)」는 『중용』을 33장(章)으로 분류하고 각 장(章)의 요지를 기록하였다. 권2의 「대학집요(大學輯要)」는 『대학(大學)』에 나오는 어휘(語彙)에 대한 주석서(註釋書)이며, 「가례석의(家禮釋義)」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대한 석의(釋義)로서 서문 이하 「통례(通禮)」·「관례(冠禮)」·「혼례(昏禮)」·「상례(喪禮)」·「장례(葬禮)」·「제례(祭禮)」에 나오는 어휘에 대하여 해설을 붙여 놓은 것이다.

2022년 10월 16일 (일) 23:26 판

매학선생유고(梅壑先生遺稿)

2권 1책(영본). 목활자본. 원래 본집 15권과 부록으로 되어 있었으나, 산질되어 현재는 권15 「존문록(尊聞錄)」과 부록만이 전한다. 자세한 간행연도는 알 수 없으나, 권두에 1916년에 쓴 송인학(宋寅學)ㆍ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1729년(영조 5) 나이빈(羅以彬)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안종학(安鍾鶴)이 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목차에 의하면 권1∼4에 시, 권5에 소(疏), 권6∼8에 서(書), 권9ㆍ10에 별지(別紙), 권11에 잡저, 권12에 휴암선생입사실기(休庵先生立祠實記), 권13에 불립당사우연원후(不立黨師友淵源後)ㆍ잠(箴)ㆍ명(銘)ㆍ송(頌)ㆍ제문ㆍ축문, 권14에 상량문ㆍ행장ㆍ유사, 권15에 존문록과 부록이 수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존문록」은 제자가 스승 안방준에게서 들은 학문 강론을 기록한 것이다. 부록에는 조상우(趙相愚)가 쓴 연보와 종사록(從師錄)ㆍ동유록(同遊錄)과 윤증(尹拯)이 쓴 유사, 이의경(李毅敬)이 지은 행장, 윤상익(尹相翊)이 쓴 추장(追狀), 유지빈(柳之彬) 등이 지은 제문 등이 있다.

당대의 석학인 윤증(尹拯),유필원(柳必源) 등과 교류 하였으며,  

요은집(鬧隱集)  가운데 저자에 대한 부록을 지었다


요은집(鬧隱集)

권1의 「대학지도(大學之圖)」는 『대학』의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의 내용을 도식(圖式)으로 표시하고, 기질(氣質)·리기(理氣)·심(心)·성(性)·정(情)·지(志)·의(意)·명(命)·도(道)·덕(德)·재(才)·선(善) 등에 대하여 약간의 해설을 붙여 놓았고, 「중용지도(中庸之圖)」는 성과 도 및 교(敎)를 주축으로 하는 『중용(中庸)』의 대의(大意)를 도식으로 표시하고 설명하였으며, 「중용석의(中庸釋義)」는 『중용』을 33장(章)으로 분류하고 각 장(章)의 요지를 기록하였다. 권2의 「대학집요(大學輯要)」는 『대학(大學)』에 나오는 어휘(語彙)에 대한 주석서(註釋書)이며, 「가례석의(家禮釋義)」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대한 석의(釋義)로서 서문 이하 「통례(通禮)」·「관례(冠禮)」·「혼례(昏禮)」·「상례(喪禮)」·「장례(葬禮)」·「제례(祭禮)」에 나오는 어휘에 대하여 해설을 붙여 놓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