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기본 정보)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5). |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5). |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91)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91)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93)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 ||
|- | |- | ||
−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 | +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
|} | |} | ||
2017년 3월 20일 (월) 15:01 판
- 항목
정의
경종(景宗, 1688~1724, 재위 1720~1724)을 왕세자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기본 정보
- 간략한 내용
- 1690년 6월 16일에 3세의 나이에 왕세자로 책봉.
- 책례 거행 시기는 6월, 장소는 인정전(仁政殿)으로 정하였다
- 왕세자 책례를 마친 다음 책례도감에서 편찬.
- 목록(目錄): 좌목(座目)·계사(啓辭)·예관(禮關)·의주(儀註)·품목(稟目)·이문(移文)·감결(甘結)·의궤(儀軌)·서계(書啓)·논상(論賞)·일방(一房)·이방(二房)·삼방(三房) 순서이지만, 실제 수록 내용과는 조금 차이 남.
- 특징: 장렬왕후(莊烈王后, 인조의 계비)의 국상(國喪) 중이었으므로 세자의 복색(服色)을 정하는 문제와 책례 전에 세자의 이름을 정하는 정명(定名) 등이 논의.
- 판본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85).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091)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93)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 항목B | 관계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한다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한다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한다 |
문헌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문헌 → 의례
항목A | 항목B | 관계 |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한다 |
의례 → 기관
항목A | 항목B | 관계 |
---|---|---|
책례 | 책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인물 → 복식
항목A | 항목B | 관계 |
---|---|---|
경종 | 초출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경종 | 초가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경종 | 재가복 | A는 B를 착용한다 |
경종 | 삼가복 | A는 B를 착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