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1720년(숙종 46)∼1772년(영조 48).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낙보(樂甫)이다. 본관은 대구(大丘)이다. 증조부는 서진리(徐晉...)
 
3번째 줄: 3번째 줄: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낙보(樂甫)이다. 본관은 대구(大丘)이다.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낙보(樂甫)이다. 본관은 대구(大丘)이다.
  
증조부는 [[서진리(서진리)|서진리]](徐晉履)이고, 조부는 [[서문택]](徐文澤)이다. 부친 통정대부(通政大夫) 지제교(知製敎) [[서종섭]](徐宗燮)과 모친 이창경(李昌慶)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서명원]](徐命元)이다. 부인은 정익하(鄭益河)의 딸이다.
+
증조부는 [[서진리]](徐晉履)이고, 조부는 [[서문택]](徐文澤)이다. 부친 통정대부(通政大夫) 지제교(知製敎) [[서종섭]](徐宗燮)과 모친 이창경(李昌慶)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서명원]](徐命元)이다. 부인은 정익하(鄭益河)의 딸이다.
  
 
1747년(영조 23)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51년(영조 27) 정시 문과에서 을과로 급제하였다.
 
1747년(영조 23)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51년(영조 27) 정시 문과에서 을과로 급제하였다.
  
 
1752년(영조 28)에는 정언(正言)에 임명되었는데, 언로(言路)를 개방하여 잘못된 처분을 내리는 폐단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53년(영조 29)에는 춘당대(春塘臺)의 시험에 참여하여, 조엄(趙曮) 등과 함께 6품으로 품계를 올려 받았다. 이후 교리(校理)‧대사간(大司諫)‧부수찬(副修撰)‧승지(承旨)‧응교(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1752년(영조 28)에는 정언(正言)에 임명되었는데, 언로(言路)를 개방하여 잘못된 처분을 내리는 폐단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53년(영조 29)에는 춘당대(春塘臺)의 시험에 참여하여, 조엄(趙曮) 등과 함께 6품으로 품계를 올려 받았다. 이후 교리(校理)‧대사간(大司諫)‧부수찬(副修撰)‧승지(承旨)‧응교(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2022년 8월 10일 (수) 16:59 판

1720년(숙종 46)∼1772년(영조 48).

조선 중기 문신. 자는 낙보(樂甫)이다. 본관은 대구(大丘)이다.

증조부는 서진리(徐晉履)이고, 조부는 서문택(徐文澤)이다. 부친 통정대부(通政大夫) 지제교(知製敎) 서종섭(徐宗燮)과 모친 이창경(李昌慶)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은 서명원(徐命元)이다. 부인은 정익하(鄭益河)의 딸이다.

1747년(영조 23) 식년시에서 생원에 합격하였고, 1751년(영조 27) 정시 문과에서 을과로 급제하였다.

1752년(영조 28)에는 정언(正言)에 임명되었는데, 언로(言路)를 개방하여 잘못된 처분을 내리는 폐단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53년(영조 29)에는 춘당대(春塘臺)의 시험에 참여하여, 조엄(趙曮) 등과 함께 6품으로 품계를 올려 받았다. 이후 교리(校理)‧대사간(大司諫)‧부수찬(副修撰)‧승지(承旨)‧응교(應敎)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