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
{{탑비정보
 +
|사진=BHST Silsangsa Jeunggak stele.jpg
 +
|사진출처=
 +
|대표명칭=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영문명칭=Stele for Buddhist Monk Jeunggak at Silsangsa Temple, Namwon
 +
|한자=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
 +
|이칭=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實相寺 證覺大師凝廖塔碑)
 +
|지정번호=보물 제39호
 +
|지정일=1963년 1월 21일
 +
|주소=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위도=35.4157835
 +
|경도=127.6345588
 +
|찬자=미상
 +
|서자=미상
 +
|각자=미상
 +
|서체=
 +
|건립연대=9세기 중엽
 +
|승려=[[홍척|홍척(洪陟)]]
 +
|승탑=[[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
  
 
=='''정의'''==
 
=='''정의'''==

2018년 1월 11일 (목) 14:48 기준 최신판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
BHST Silsangsa Jeunggak stele.jpg
대표명칭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Jeunggak at Silsangsa Temple, Namwon
한자 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
이칭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實相寺 證覺大師凝廖塔碑)
주소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9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미상
서자 미상
각자 미상
승려 홍척(洪陟)
건립연대 9세기 중엽
승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증각대사 홍척(證覺大師 洪陟)탑비.

내용

개요

탑비는 비신(碑身)[1]이 없어지고, 귀부(龜趺)이수(螭首)만 남아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응료탑비(凝寥塔碑)'라는 전액(篆額)이 새겨져 있다.[2]

증각대사(證覺大師)실상산문(實相山門)의 개산조(開山祖)[3]로, 정확한 생몰년을 확인할 수 없다. 탑비의 건립 연대는 9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귀부는 용의 머리를 형상화 하지 않고 거북의 머리를 그대로 충실히 따랐다.[4] 이수는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扶餘 唐 劉仁願 紀功碑)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 같은 조형적 특성을 보인다. 한국 석비의 고전적 형태를 잘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5]

1963년 보물 제39호로 지정되었다.[6]

비문

비문은 비신이 결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다.


비문 보러가기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홍척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김세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하나의 파를 처음 형성한 승려.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참조: "개산조", 시공 불교사전, 『네이버지식백과』online.
  4.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