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윤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윤선도와 윤두서)
(윤선도와 윤두서)
 
27번째 줄: 27번째 줄:
  
 
===윤선도와 윤두서===
 
===윤선도와 윤두서===
윤효정은 [[고산 윤선도 |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고조부이다. 윤선도는 윤의중의 손자로, 1612(광해군 4)년에 처음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예송논쟁]]을 비롯한 각종 사화에 얽혀 긴 유배생활을 했다. 윤선도는 그보다 50년을 앞서 살았던 정철과 함께 한글 문학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현재 전해지는 그의 시조는 75수 정도이며 대부분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뒤 은둔지로 택한 보길도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윤선도의 증손 공재 [[윤두서]]는 숙종 때 극사실주의 화가로 유명하며 심사정·정선과 함께 3재로 일컬어졌다. 그의 [[윤두서 자화상 | 자화상]]은 국보 240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외 가전되어온 고화첩도 부물 481호로 지정되었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30722023966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ref>
+
윤효정은 [[고산 윤선도 |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고조부이다. 윤선도는 윤의중의 손자로, 1612(광해군 4)년에 처음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예송논쟁]]을 비롯한 각종 사화에 얽혀 긴 유배생활을 했다. 윤선도는 그보다 50년을 앞서 살았던 정철과 함께 한글 문학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현재 전해지는 그의 시조는 75수 정도이며 대부분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뒤 은둔지로 택한 보길도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윤선도의 증손 공재 [[윤두서]]는 숙종 때 극사실주의 화가로 유명하며 심사정·정선과 함께 3재로 일컬어졌다. 그의 [[윤두서 자화상 | 자화상]]은 국보 240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외 가전되어온 고화첩도 보물 481호로 지정되었다.<ref>김성희, "[http://www.segye.com/newsView/20130722023966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8년 1월 15일 (월) 01:23 기준 최신판

해남 윤씨(해남 윤씨(海南尹氏))
대표명칭 해남 윤씨
한자표기 해남 윤씨(海南尹氏)
유형 종가
창립자 윤존부(尹存富)
창립시대 고려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내용

해남 입향과 부흥

해남윤씨(海南尹氏)의 시조는 고려 중엽 때 인물인 윤존부(尹存富)로 알려져 있다. 해남 윤씨가 해남을 근거지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윤효정(尹孝貞) 대로 이 시기 이후 본관으로 삼은 것으로 파악된다. 어초은(漁樵隱) 윤효정은 당대 거부였던 해남 정씨 정호장(鄭戶長)의 외동딸과 결혼하여 정호장의 재산을 물려받고 일약 거부가 되었다. 그는 백성이 어려울 때 사재를 털어 구휼하고 죄인을 방면하는 등 선행을 베풀어 ‘적선지가(積善之家)’라는 칭송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그 이후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해남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1]

윤선도와 윤두서

윤효정은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의 고조부이다. 윤선도는 윤의중의 손자로, 1612(광해군 4)년에 처음 관직에 진출하였으나 예송논쟁을 비롯한 각종 사화에 얽혀 긴 유배생활을 했다. 윤선도는 그보다 50년을 앞서 살았던 정철과 함께 한글 문학에서 쌍벽을 이루었다. 현재 전해지는 그의 시조는 75수 정도이며 대부분 『고산유고』에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뒤 은둔지로 택한 보길도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윤선도의 증손 공재 윤두서는 숙종 때 극사실주의 화가로 유명하며 심사정·정선과 함께 3재로 일컬어졌다. 그의 자화상은 국보 240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외 가전되어온 고화첩도 보물 481호로 지정되었다.[2]

지식 관계망

  • 해남 윤씨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해남 윤씨 윤존부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해남 윤씨 윤효정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해남 윤씨 윤선도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해남 윤씨 윤두서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고산유고 윤선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윤두서 자화상 윤두서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윤존부 윤효정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윤효정 윤선도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윤선도 윤의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윤의미 윤두서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주석

  1. 김성희,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
  2. 김성희, "파평윤씨, 해남윤씨, 칠원윤씨", 『세계일보』, 작성일: 2013년 02월 22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이병삼, 「15~16세기 해남지방 재지사족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일고찰 : 해남정씨가의 혼맥 관계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문숙자, 「조선후기 양반가계(兩班家系)와 지역민(地域民)의 관계 및 그 변화양상 -해남윤씨 고문서를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Vol.48, 한국고문서학회, 2016.
    • 권수용, 「기획논문 -문중고문서를 통해 본 호남지역의 사회와 문화 : 해남윤씨 문중 문헌록 연구」, 『古文書硏究(』 Vol.38, 한국고문서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