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9번째 줄: | 49번째 줄: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7/yeongok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html><br/> | ||
− | {{clickable button|[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27/yeongok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 ===갤러리=== | ||
63번째 줄: | 63번째 줄: | ||
파일:BHST_Yeongoksa_east-stele-isu-2.jpg|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이수 뒷면 | 파일:BHST_Yeongoksa_east-stele-isu-2.jpg|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이수 뒷면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85번째 줄: | 75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탑비]] | [[분류:탑비]] | ||
− |
2024년 4월 12일 (금) 00:27 기준 최신판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
|
대표명칭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
---|---|
영문명칭 | East Stele of Yeongoksa Temple, Gurye |
한자 | 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
주소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1018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53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승려 | 미상 |
|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탑비.
내용
개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연곡사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3개의 승탑이 있다. [1]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 연곡사 북 승탑(국보 제54호), 연곡사 서 승탑(보물 제154호) 등의 문화재가 있는데, 연곡사 동 승탑(국보 제53호)은 동 승탑 앞쪽에 있고, 높이는 1.2m이다.[2]
비문을 새긴 비신(碑身)은 임진왜란 때 없어져서 이 비의 정확한 주인은 알 수 없다.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인 귀부(龜趺)와 용의 형체를 새겨 장식한 비석의 머릿돌인 이수(螭首)만 남아 있다.[3]
비석 받침돌은 네 다리를 사방으로 쭉 뻗고 엎드린 용의 모습을 하고 있으나 사실성이 떨어지며, 잘려진 것을 복구해 놓아 부자연스럽다. 용의 등에는 새 날개 모양의 무늬를 조각해 놓아 새로운 느낌이다. 등 중앙에 비를 끼우도록 마련된 비좌(碑座)[4]에는 구름무늬와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머릿돌은 용무늬를 생략하고 구름무늬만을 새겼으며, 꼭대기에는 불꽃에 휩싸인 구슬을 조각해 놓았다.[5] 용의 입에는 여의주가 물려있다.
규모면에서는 보다 작고 아담해지고, 양식적인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이 승탑비는 신라시대와는 다른 고려시대의 새로운 양식으로서 주목된다.[6]
이 비는 보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문
현재 이 비의 비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 구례 연곡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 - ↑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 - ↑ 비신(碑身)을 세우는 대좌(臺座). 또는 비신을 꽂아 세우기 위하여 홈을 판 자리
-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창균,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창균,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연곡사 동승탑비",
『두산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