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홍씨 회갑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문헌)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 | 1795년에 [[조선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해 [[화성행궁]]에서 연 잔치이다. | |
==내용== | ==내용== | ||
− | ===[[조선 정조]]와 [[화성행궁]]의 건설=== | + | ===[[조선 정조|정조]]와 [[화성행궁]]의 건설=== |
− | [[조선 정조]]는 [[화성행궁|화성]]이라는 신도시를 건설해 왕위를 [[조선 순조|세자]]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혜경궁 홍씨|혜경궁]]을 모시고 [[화성행궁|화성(華城)]]에 은퇴해 만년을 살고자 하였다. 1794년부터 [[화성행궁]] 건설을 시작하였다.<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쪽.</ref> | + | [[조선 정조]]는 왕위를 세자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혜경궁]]을 모시고 화성에 은 [[화성행궁|화성]]이라는 신도시를 건설해 왕위를 [[조선 순조|세자]]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혜경궁 홍씨|혜경궁]]을 모시고 [[화성행궁|화성(華城)]]에 은퇴해 만년을 살고자 하였다. 1794년부터 [[화성행궁]] 건설을 시작하였다.<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쪽.</ref> |
===[[조선 정조]]와 [[화성행궁]] 원행=== | ===[[조선 정조]]와 [[화성행궁]] 원행=== | ||
− | 1789년 [[사도세자]]의 묘소를 이장한 후 [[조선 정조|정조]]는 해마다 1월 혹은 2월에 신하들을 거느리고 [[현륭원]]을 참배하기 위해 화성을 방문했다. 정조는 재위 24년간 66회의 원행을 하였는데, 그 중 아버지 묘소 참배가 그 절반을 차지했다.<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쪽.</ref> | + | 1789년(정조 13) [[사도세자]]의 묘소를 이장한 후 [[조선 정조|정조]]는 해마다 1월 혹은 2월에 신하들을 거느리고 [[현륭원]]을 참배하기 위해 화성을 방문했다. 정조는 재위 24년간 66회의 원행을 하였는데, 그 중 아버지 묘소 참배가 그 절반을 차지했다.<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쪽.</ref>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
1795년 [[조선 정조|정조]]는 [[화성행궁|화성(華城)]]에서 [[혜경궁 홍씨|어머니]]의 회갑잔치를 벌이고 [[현륭원|아버지 묘소]]에 참배하기 위해 [[혜경궁 홍씨]]을 모시고 화성에 갔다가 16일 밤 서울로 돌아왔다. 8일간의 화성행차에서는 진찬(進饌) ․ 양로연(養老宴) ․ 문무과시취(文武科試取)와 방방(放榜) 등의 행사를 치뤘다.<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쪽.</ref> | 1795년 [[조선 정조|정조]]는 [[화성행궁|화성(華城)]]에서 [[혜경궁 홍씨|어머니]]의 회갑잔치를 벌이고 [[현륭원|아버지 묘소]]에 참배하기 위해 [[혜경궁 홍씨]]을 모시고 화성에 갔다가 16일 밤 서울로 돌아왔다. 8일간의 화성행차에서는 진찬(進饌) ․ 양로연(養老宴) ․ 문무과시취(文武科試取)와 방방(放榜) 등의 행사를 치뤘다.<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쪽.</ref> | ||
+ | |||
===[[혜경궁 홍씨 회갑연]]의 특징=== | ===[[혜경궁 홍씨 회갑연]]의 특징=== | ||
[[조선 정조|정조]]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맞이하여 행한 여러 행사 중에 중심이 되었던 것은 [[화성행궁 봉수당|봉수당]]에서 행한 진찬(進饌)과 [[화성행궁 낙남헌|낙남헌]]에서 베푼 양로연(養老宴)이다. 조선에서 처음으로 생긴 왕의 어머니가 회갑을 맞는 경사였다. <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12쪽.</ref> | [[조선 정조|정조]]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맞이하여 행한 여러 행사 중에 중심이 되었던 것은 [[화성행궁 봉수당|봉수당]]에서 행한 진찬(進饌)과 [[화성행궁 낙남헌|낙남헌]]에서 베푼 양로연(養老宴)이다. 조선에서 처음으로 생긴 왕의 어머니가 회갑을 맞는 경사였다. <ref>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12쪽.</ref> |
2017년 11월 25일 (토) 05:39 기준 최신판
혜경궁 홍씨 회갑연(惠慶富 洪氏 回甲宴) | |
대표명칭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
한자표기 | 惠慶富 洪氏 回甲宴 |
시대 | 조선 |
날짜 | 1795년 |
관련인물 | 혜경궁 홍씨, 사도세자, 조선 정조 |
관련유물유적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원행을묘정리의궤, 화성행궁, 화성능행도병, 화성행궁 봉수당 |
목차
정의
1795년에 조선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해 화성행궁에서 연 잔치이다.
내용
정조와 화성행궁의 건설
조선 정조는 왕위를 세자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혜경궁을 모시고 화성에 은 화성이라는 신도시를 건설해 왕위를 세자에게 물려주고 자신은 혜경궁을 모시고 화성(華城)에 은퇴해 만년을 살고자 하였다. 1794년부터 화성행궁 건설을 시작하였다.[1]
조선 정조와 화성행궁 원행
1789년(정조 13) 사도세자의 묘소를 이장한 후 정조는 해마다 1월 혹은 2월에 신하들을 거느리고 현륭원을 참배하기 위해 화성을 방문했다. 정조는 재위 24년간 66회의 원행을 하였는데, 그 중 아버지 묘소 참배가 그 절반을 차지했다.[2]
혜경궁 홍씨 회갑연
1795년 정조는 화성(華城)에서 어머니의 회갑잔치를 벌이고 아버지 묘소에 참배하기 위해 혜경궁 홍씨을 모시고 화성에 갔다가 16일 밤 서울로 돌아왔다. 8일간의 화성행차에서는 진찬(進饌) ․ 양로연(養老宴) ․ 문무과시취(文武科試取)와 방방(放榜) 등의 행사를 치뤘다.[3]
혜경궁 홍씨 회갑연의 특징
정조가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맞이하여 행한 여러 행사 중에 중심이 되었던 것은 봉수당에서 행한 진찬(進饌)과 낙남헌에서 베푼 양로연(養老宴)이다. 조선에서 처음으로 생긴 왕의 어머니가 회갑을 맞는 경사였다. [4]
진찬과 양로연은 외연과 내연 구별 없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고, 양로연에서는 정재가 생략되었다. 또 두 연회 모두 주악을 담당한 악대의 편성이 전례와 달리 전정고취라는 독특한 편성을 하고 있다. 이는 궐 밖의 행사라는 특수성과 왕비의 신분이 아니었던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에 차등을 두었던 조치로 해석된다. [5]
지식 관계망
- 어제악장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정조 | 혜경궁 홍씨 | A는 어머니 B가 있다 | A ekc:hasMother B |
조선 정조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화성행궁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진찬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화성행궁 봉수당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화성행궁 낙남헌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혜경궁 홍씨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전정고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전정고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화성능행도병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원행을묘정리의궤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어제악장 | 혜경궁 홍씨 회갑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어제악장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화성행궁 | 조선 정조 |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화성행궁 봉수당 | 화성행궁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화성행궁 낙남헌 | 화성행궁 | A는 B에 위치한다 | A dcterms:isPartOf B |
주석
- ↑ 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쪽.
- ↑ 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9쪽.
- ↑ 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쪽.
- ↑ 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1-12쪽.
- ↑ 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9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송혜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공연사적 의의」, 『한국어와 문화』7,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 주영하, 「연회와 음식, 그리고 식공간 - 조선시대 기록화 중의 잔치 장면을 중심으로」, 『한국식공간학회 학술대회』2006, 한국식공간학회, 2006.
유용한 정보
- 정경희,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 『미디어 오늘』, 작성일: 2001년 05월 17일.
- 송혜진, "혜경궁홍씨의 회갑연, 영예로운 행차와 잔치", 명사칼럼,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작성일: 2011년 03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