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봉 안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 + |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이다. |
=='''내용'''== | =='''내용'''== | ||
− | [[김성일|김성일(金誠一, 1538-1593)]] | + | [[김성일|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사용하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대모(거북이 등껍질)로 안경테를 만들었고, 경첩을 가운데에 달아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었다. 안경다리는 없으며, 대신 안경테에 구멍을 내어 끈을 달아 귀에 걸도록 되어 있다. 안경을 반으로 접어 안경집에 넣어 보관했으며, 안경집은 옆으로 비껴서 열 수 있었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권(試券)』, 2015, 163쪽.</ref>안경집은 피나무로 제작되었으며 겉면은 옻칠을 하고 놋쇠로된 배꼽장식을 달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예품 제작방식과 동일하다. 렌즈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에서 수정을 이용하여 안경을 만든다고 하고 있는 것으로<ref>윤을요, 「조선시대 안경과 안경집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123쪽.</ref> 을 보아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은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안경을 통해 임진왜란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안경을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
<!-- | <!-- | ||
===조선시대 안경의 의미=== | ===조선시대 안경의 의미=== |
2017년 11월 24일 (금) 22:43 기준 최신판
학봉 안경 (鶴峰 眼鏡) |
|
대표명칭 | 학봉 안경 |
---|---|
한자표기 | 鶴峰 眼鏡 |
이칭 | 김성일 안경 |
유형 | 장신구 |
시대 | 16세기 후반 |
소장처 | 의성김씨 학봉종택 |
수량 | 1개 |
관련인물 | 김성일 |
관련단체 | 의성 김씨 |
관련유물유적 | 의성김씨 학봉종택 |
정의
학봉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이다.
내용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사용하던 안경과 안경집으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안경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대모(거북이 등껍질)로 안경테를 만들었고, 경첩을 가운데에 달아 반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었다. 안경다리는 없으며, 대신 안경테에 구멍을 내어 끈을 달아 귀에 걸도록 되어 있다. 안경을 반으로 접어 안경집에 넣어 보관했으며, 안경집은 옆으로 비껴서 열 수 있었다.[1]안경집은 피나무로 제작되었으며 겉면은 옻칠을 하고 놋쇠로된 배꼽장식을 달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공예품 제작방식과 동일하다. 렌즈는 수정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다. 이규경의 『오주서종박물고변』에서 수정을 이용하여 안경을 만든다고 하고 있는 것으로[2] 을 보아 김성일의 안경과 안경집은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안경을 통해 임진왜란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안경을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
지식 관계망
-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학봉 안경 | 안경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김성일 | 학봉 안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학봉 안경 | 의성김씨 학봉종택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세기 후반 | 김성일이 학봉 안경을 사용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609771 | 128.669643 |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학봉 안경이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영상
- 역사채널e : 두 개의 눈(게시일:2013.01.04.)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시권(試券)』, 2015, 163쪽.
- ↑ 윤을요, 「조선시대 안경과 안경집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123쪽.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금복현, 『옛 안경과 안경집』, 대원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