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원주 거돈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6번째 줄: 16번째 줄:
 
|건립시기=
 
|건립시기=
 
|창건자=
 
|창건자=
|경내문화재=[[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경내문화재=[[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
  
34번째 줄: 34번째 줄: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보물 제750호)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보물 제750호)
  
=='''지식관계망'''==
+
=='''지식 관계망'''==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식관계망'''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식관계망'''
 
<html>
 
<html>
41번째 줄: 41번째 줄: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0/stele_jijong_geod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20/stele_jijong_geod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D020/monk_jijong.htm 원공국사 지종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75번째 줄: 76번째 줄:
  
 
=='''시각자료'''==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0/Geodonsaj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h.aks.ac.kr/Encyves/Pavilions/D020/Geodonsaji.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2017년 12월 21일 (목) 14:28 기준 최신판


원주 거돈사지
(原州 居頓寺址)
BHST Geodonsaji.jpg
대표명칭 원주 거돈사지
한자 原州 居頓寺址
주소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89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168호
문화재 지정일 1968년 12월 19일
관리자 원주시
경내문화재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

내용

거돈사지의 대체적인 윤곽은 1989-1992년에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발굴조사과정에서 드러났다. 7,500평 넓이의 절터는 건물의 배치와 규모를 잘 알 수 있을 정도로 보존이 잘 되어 있었다. 발굴조사결과, 거돈사는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창건된 후, 고려초기에 중창되어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조선전기까지 존속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거돈사 현계산(玄溪山)에 있다. 고려 최충(崔沖)이 찬술한 중 승묘의 비가 있다.”라는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2]

거돈사지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 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중문터 북쪽의 3층석탑(보물 제750호)은 처음 세워질 때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는데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다. 탑의 동쪽에는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930-1018)을 위한 원공국사승묘탑비(보물 제78호)가 있다. 탑비와 함께 원공국사승묘탑(보물 제190호)이라 불리는 부도가 있었는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4]

1968년 사적 제168호로 지정되었다.[5]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거돈사지 원주 거돈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종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018년 지종원주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했다.
1025년 거돈사원공국사탑비가 건립되어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1948년 일본인 집에 있던 원공국사탑경복궁으로 옮겨졌다.
1968년 원주 거돈사지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정비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1989년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거돈사지",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 홍대한, "잃어버린 가람 터를 찾아 4 - 조운선(漕運船), 뱃노래 소리 드높던 거돈사", 『월간 불광』, 불교문화산책 94, 384쪽.
  3. 이강식,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4. "원주 거돈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원주 거돈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한림대학교 박물관, 『거돈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림대학교 박물관, 2000.
  • 김봉렬, "원주 거돈사터", 『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박상국, "거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강식,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 홍대한, "잃어버린 가람 터를 찾아 4 - 조운선(漕運船), 뱃노래 소리 드높던 거돈사", 『월간 불광』, 불교문화산책 94.
  • "거돈사지",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돌베개, 2012. 온라인 참조: 답사여행 길잡이7:경기남부와 남한강, 『네이버 지식백과』online.